초록 열기/닫기 버튼

성공회대 노동사연구소는 2001년 당시 전태일노동자료실의 소장 기록물이 성공회대에 기탁되는 것을 계기로 출범하게 되었다. 이후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대규모 구술조사 연구사업을 진행하면서 노동아카이브와 노동연구의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해 왔다. 하지만 노동기록이 축적되어감에 따라 새롭게 해결되어야 하는문제들이 발생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노동기록의 생산자(구술증언자)들의 불만족이었다. 기록의 이용자(연구자)들 측면에서도 연구자들이 기록을 고정된 해석의 프레임에 맞추거나, 자신의 해석에 따라 선별적으로 이용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인천지역의 동일방직, 반도상사, 대한마이크로 등 노동조합 사례와 구로동맹파업의 사례 등을 통해 살펴보았을 때 기록의 생산과 활용 사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분명하게 드러났다. 70년대민주노조운동의 당사자들 사이에서도 역사적 기록에 ‘승리자’로남는 그룹이 있는 반면에, 부당하게 ‘실패자’로 낙인찍히는 ‘중층적 주변화’ 현상이 발생해 왔다.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개입은 매우 제한적일 뿐이고, 시민과 노동자들 사이에서 이런 ‘기억투쟁’이 원활하게 해결되어 나갈 방법은 보이지 않는다. 이는 노동아카이브가 지역 속에 뿌리내리지 못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참여형 노동아카이브의 구축을 통해서 기록 생산과활용에 대한 대안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참여의이론적인 부분을 보완하여 ‘로컬리티 기록화’ 전략의 구체적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로컬과 로컬리티 연구는 비단 물리적 공간의문제만이 아니다. 그것은 기억과 정체성, 그리고 사회적 관계를구성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중적 스케일’(multi-scalar) 접근방법을 요청한다. 대안적인 ‘로컬리티 기록화’ 전략은 기존의 노동아카이브가 해결해야 하는 기록 생산과 활용 사이의 문제점을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In 2001 a large amount of labor record have been donated from JeontaeilLabor Archive-Institute to SungKongHoe University(SKHU). Institute of LaborHistory in SKHU was established in the wake of the installation of thelabor archive. Development of oral archive raised the awareness of the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and production of labor record. Interviewees of oral testimony expressed dissatisfaction and the role of theresearchers was not sufficiently exhibited. Examining the main cases of Korea union movement history, we canfind contradictions between the use and production of labor recordclearly. Interval of interpretation and memory was too big between theparties of ‘democratic’ union movement in the 1970s. While among theparties who took part in Guro Alliance Strike of 1985, there is a groupthat remains in the “winner” in history on the one hand, but “loser” on theother without any reasonable criterion. Active intervention of the recordusers(researchers) is very limited. Among citizens or workers how will beresolved such “struggle of memory” in due process can not be seen. Thisis one of the reasons why labor archive is not rooted in the region. In this paper, I present a methodological alternatives for the production and use of record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participatory labor archive. Further, the reconstituted contents of the “documenting locality” strategy bycomplementing the theoretical part of the method of participation. Thestudy of local and locality requires a “scale” dimension that will make upthe identity recognition space, a memory and identity, a social relationshiprather than the dimension of the physical space. Alternative “documentinglocality” strateg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solve the problems that occurbetween the production and use of the recording in labor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