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의의 목적은 「천희당시화」(1909.11.9~12.4)를 통해 애국계몽기 시가 인식의 특질과 문학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애국계몽기 문학 담론은 대중의 발견과 더불어 국문문학 양식을 중심으로 구조적으로 재편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학인식의 변화는 19세기 후반 급속하게 성장한 국문학의 대중적 성장기반이 계몽의 실천적 필요에 의해 재발견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대중성’을 중심으로 19세기후반의 문학사와 애국계몽기 문학사가 서로 만나게 되었던 것이다. 애국계몽기 시가 인식 역시 이와 같은 당대 문학담론의 변화에 따라 진행되었다. 때문에 「천희당시화」에서는 우선 사대부 문화에 국한되어 시조양식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전통적인 시가론과 달리, 이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유흥 공간 및 일상의 영역에서 가창되던 대중적 양식으로까지 논의의 영역이 확장되었다. 이는 19세기 후반 확대된 국문시가의 대중적 영향력이 계몽의 실천적 필요성과 만나면서 일어난 성과이다. 또한 국문이 중심언어로 공식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면서 이로 쓰여진 국문문학 역시 문학의 중심적인 위치로 급부상되는 당대 문학인식의 전체적인 구조적인 변화와 관련되어 ‘우리말 시’에 대한 인식이 생겨나, 국시(國詩) 개념의 탄생으로 이어지게 되었음을 「천희당시화」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이는 또한 가창과 결부되었던 국문시가가 가(歌)에서 분리되어, ‘읽혀지는 시’로 새롭게 인식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애국계몽기 시가인식이 보여준 새로운 가능성이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천희당시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애국계몽기 시가인식에 일어난 변화는 시가에 대한 효용적 가치가 정서적 감염의 측면에서 설정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정감적 지향이라는 조선 후기 시가사의 흐름과 이어지는 한편, 개체적 정서의 표출로 몰입해 들어갔던 19세기 후반의 시가사와는 달리, 해방된 개체적 감정들을 애국적 열정의 표출로 집약시킨다는 점에서 애국계몽기적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recognition and its literary meanings in patriot-enlightenment times, through 「Chunhedangsihwa」(1909.11.0-12.4) The literal discourse in patriot- enlightenment times were being reconstructed with discovery of mass and was centered around form of Korean literature. This change means the process that the Korean literature, which developed fast in 19th century, were re-discovered with practical needs of enlightenment. The recognition of poetry in patriot-enlightenment times were also reconstructed along with these changes in literal discourse. In 「Chunhedangsihwa」, different from traditonal poetry which was centered in Sijo in Sadebu culture, field of discourse became much wider including mass poetry forms in entertainment and everyday life. And Korean becoming major language put Korean literature in major position, resulting the Korean poetry to reborn in "National Poetry". We can see these processes in 「Chunhedangsihwa」. We can see it as a new possibility in poetry recognition of patriot- enlightenment times, because Korean poetry has changed its position from "To be sung" to "to be read". The last meaning in poetry recognition we can investigate through the 「Chunhedangsihwa」 in enlightenment-patriot times is that the use of poetry was set up in the point of emotional in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