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남원고사』계 『춘향전』이 다른 계통 『춘향전』과 구별되는 사항을 노래책(가사집)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 『남원고사』계 『춘향전』이 출발한 19세기 중후반 전후의 가사집에 수록된 시가들과 『남원고사』계 『춘향전』 수록 시가들을 대조하면서 『남원고사』계 『춘향전』작가의 시가 수록 방향에 일정한 지향이 있음을 알았다. 우선, 당대 가악 풍토에 정통한 최상의 향유자로서 당대의 시가 향유상을 소설 속에 담아내려고 한 점이다. 당대에 유행하던 작품들을 서사 문맥에 적합하도록 종류에 따라 배열하였을 뿐만 아니라, 때로는 새로운 노래들을 조합 창작하여 끼워 넣기도 함으로써 작자 자신이 가악에 정통함을 내비추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각 노래들의 작중 연행자들을 작중 정황에 어울리게 성격 부여함으로써 작자의 가악관을 명확히 드러내 보이고 있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서사문맥에 시가를 삽입하는 방식을 판소리와 관련하여 해석하려고 해왔지만 『남원고사』계 『춘향전』들의 시가 수록 방식은 판소리처럼 아니리와 창을 교체 배열하는 것이 아니라, 노래들의 배열 자체에서 어떤 서사 맥락을 형성하며 서술적인 부분도 타령류로 명명할 수 있는 노래들로 이어감으로써 전체 작품이 노래가 주류를 이루는 흐름 속에 이어져나가게 하였다. 이런 방식의 서사 의도는 커다란 노래판 속에서 당대의 사회상 전체를 읽히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자신의 서사 의도를 실현하기 위하여 작자는 서정적 분위기에 적합한 춘향 담론을 채택하여 이에 대한 서술 전략을 당대에 유행하던 노래들의 특성 내지는 이들 특성이 총집된 노래판을 통하여 찾아낸 것이다. 노래들의 총집을 통하여 새로운 양식을 모색했다는 점에서는 판소리와도 공통되는 요인을 찾아볼 수 있지만, 노래판의 재현이라는 수단을 사용하여 사회의 반영이라는 소설적 서사 의도를 성취한 점에서 『남원고사』계 『춘향전』의 양식적 지향은 판소리와는 구별된다고 할 수 있다. 판소리 구성의 목표가 현장의 청중을 위한 연행물의 완성에 있는 것과는 다르게 미지의 독자들에게 애독되는 독서물을 제시해야하는 『남원고사』계 『춘향전』 작자는 우선 당대의 공통 담론을 채택한 위에 그 담론을 소설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안을 고심하며 모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가 택한 방안인 노래판의 재현은 가창 흥왕기인 당대의 사회상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것이었으며 당대의 가악에 정통한 작자는 이 방안을 실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자질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The author of 『CHUNHYANGJEONS 춘향전』the 『NAMWONKOSA 남원고사』origin has a certain orientation in collecting the songs. He is an expert in his contemporary songs, and he can arrange several kinds of songs to be apt for the context of the novel- 『CHUNHYANGJEONS 춘향전』. In addition he can write his own songs for connecting the context fluently. Also, he can give the characters to the performers of the songs in the work to show his views on the songs. In general, many see the inserting songs between the narrative units as the way of PANSORI(판소리)'s composing. But 『CHUNHYANGJEONS 춘향전』the 『NAMWONKOSA 남원고사』origin have an other way from the one of PANSORI(판소리)'s composing. They have a narrative context in arranging the songs, and at narration parts the songs are continued. These continuing songs are different kinds from the main songs. They can be called as TARYUNG(타령). The stream of the work in that the songs have a majority means the social atmosphere in that many men like singing songs. The author of 『CHUNHYANGJEONS 춘향전』the 『NAMWONKOSA 남원고사』 has an intention to indicate the social meaning through presenting the song-amusing aspets of his age. For this purpose he choose the CHUN -HYANG discourse and he explain it by the way of arranging the songs apt for it's context. His purpose is reached to the novel form, and he can be an author of new form to explain the CHUNHYANG discourse in new way.


The author of 『CHUNHYANGJEONS 춘향전』the 『NAMWONKOSA 남원고사』origin has a certain orientation in collecting the songs. He is an expert in his contemporary songs, and he can arrange several kinds of songs to be apt for the context of the novel- 『CHUNHYANGJEONS 춘향전』. In addition he can write his own songs for connecting the context fluently. Also, he can give the characters to the performers of the songs in the work to show his views on the songs. In general, many see the inserting songs between the narrative units as the way of PANSORI(판소리)'s composing. But 『CHUNHYANGJEONS 춘향전』the 『NAMWONKOSA 남원고사』origin have an other way from the one of PANSORI(판소리)'s composing. They have a narrative context in arranging the songs, and at narration parts the songs are continued. These continuing songs are different kinds from the main songs. They can be called as TARYUNG(타령). The stream of the work in that the songs have a majority means the social atmosphere in that many men like singing songs. The author of 『CHUNHYANGJEONS 춘향전』the 『NAMWONKOSA 남원고사』 has an intention to indicate the social meaning through presenting the song-amusing aspets of his age. For this purpose he choose the CHUN -HYANG discourse and he explain it by the way of arranging the songs apt for it's context. His purpose is reached to the novel form, and he can be an author of new form to explain the CHUNHYANG discourse in new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