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일제강점 이후 가속된 근대 학문으로서의 한국미술사의 성립과 그 패러다임의구축에 미친 일본 제국주의의 영향과 의미를 살펴본 글이다. 메이지(明治) 유신 이래, 일본은서유럽의 제국주의를 본받아 조선을 식민지로 삼고, ‘文明指導論’을 내세웠다. 식민 정책중 하나가 文明史의 입장에서 조선의 역사와 미술을 재구성하는 것이었다. 조선 倂呑 이전까지 오늘날 미술로 불리는 것들은 조선에서 미술이라는 이름으로 範疇化(categorize)되지않았던 것들이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의 미술사는 성립과 전개가 일제에 의해 형성된 근대학문이다. 일본 제국의 지식인들은 불교와 불교미술을 중심으로 일본과 조선의 미술사를 구성하려고 했다. 조선 각지의 유물을 조사하여 조선미술사의 기초 자료로 삼았고, 패러다임을 구성했는데 이는 조선미술사의 이론적 토대일 뿐만이 아니라 조선인의 지식 체계, 나아가 자기정체성(identity)을 만들어내고 규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일본에 의해 ‘발견’된 조선의미술은 그들에 의해 복원․수리되고 朝鮮史, 朝鮮美術史를 통해 再맥락화 된다. 우리나라의미술을 ‘미술’의 이름으로 역사적 체계를 세워 재구성한 것이 조선미술사이다. 이때의 재구성은 전근대까지 이들 문화재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특정한 맥락을 지니고있었던 것을 일제의 구미에 맞게 배치하고 강조했다는 점에서 ‘脫맥락화 - 再맥락화’의 과정을거친 것이다. 미술로의 규정이 탈맥락화라고 한다면 조선미술사로 구성한 것은 재맥락화가된다. 이 때, 재맥락화의 핵심은 ‘古典․古代의 찬양’과 ‘동양 예술의 빠진 부분을 보충’하는것이었다. 關野貞의 朝鮮美術史에는 조선의 미술이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에 걸쳐 발달의 정점에 달했고, 고려에는 쇠퇴의 조짐을 보이다가 조선시대에는 쇠퇴를 거듭했다고 썼다. 삼국및 통일신라의 미술은 마땅히 본받아야 할 ‘古典’이 되었다. 이처럼 고대를 중시하고 고전을만들어내려 했던 것은 서양의 문명사에 비견되는 동양의 문명을 만들어내려 했던 일본의역사 만들기에 의한 것이었다. 세키노가 우리 미술의 흐름을 ‘도입-발전-절정-쇠퇴’라는진화론적 文明史觀으로 파악한 것도 일제강점기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세키노를 비롯한 일본 학자들이 조선 미술을 일본과 중국 사이를 연결해주는 고리로 파악한것은 그들 스스로가 의미를 부여한 조선미술사의 허구의 가치이다. 이 점은 일본이 일본미술을 세계 미술사 속에서 위치 지우려 했던 것과 명백히 비교가 된다. 일본인들에 의해 성립된 근대적 학문으로서의 조선미술사는 그들이 구축한 패러다임대로 정비되었고, 나름의 논리 체계와 구성 속에서 정교해지고, 공고해졌다. 이는 일본이 조선에 관한 “지식의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專有했으며, 자신들의 의도대로 패러다임을 확정했음을 의미한다. 또 일본은 이를 대중 교화, 강연, 교육의 이름으로 공론화하고 대중화했다. 일제강점기에 주입된 조선미술사의 가치관과 역사관은 일본 제국주의가 주체가 되어 원래제작되고, 자리매김되었던 맥락에서 벗어나 탈맥락화, 재맥락화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것이다. 우리 문화유산은 그 자체로서 존재했고, 그 물질적 가치는 변하지 않는다. 그에대한 인식이 변해온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roles of imperial Japan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aradigms of the Korean art. Due to the effort by the Japanese scholars, the Korean art could be developed as the modern field of study. Since the Meiji Restoration, Japan colonized the Joseon dynasty and asserted ‘the directions for civilization(文明指導論)’ based on the Western European model of colonial control. One of the main colonial missions was the reconstruction of history and art in Korea. Before the Japanese annexation, the art of Joseon had not been categorized as an art. The Japanese scholars then placed Buddhism and Buddhist art in the center of the Korean and Japanese art histories. Their investigation on historic remains in Joseon offered a preliminary data, which eventually became the groundwork for the paradigms of the art of Joseon. The Japanese scholars played a key role not only in building the theory of the art history of Joseon, but also in defining the knowledge system and forming the identity of the Joseon people. The Joseon art, which was ‘discovered’ by Japan, had gone through the restoration, repair and re-contextualization processes. The art of Joseon, including Sogguram, came to mean the “recontextualization” of the indigenous art in the name of “art.” Here, the recontextualization can be conducted in the process of being “de-contextualized”, and then “re-contextualized”of the indigenous art according to the tastes of Japan. If we call the process of defining the indigenous arts as an art or cultural assets, the process to define the indigenous art as the “history of Joseon art” falls into the category of “re-contextualization.” The essence of the “re-contextualization” of the history of Joseon, then, was laid on “lauding the classics and antiquities” and “filling up the missing links in Oriental Art.”Sekino Tadashi(關野貞) in his lecture note, History of Joseon Art, wrote that the Korean art reached its peak in the periods of the Three States and the United Silla, while marking the decline in the Korea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The arts of the Three States and the United Silla became the “classics” and “exemplary sample” for the people living in thepresent time. The reason why the Japanese scholars put emphasis on antiquities was to create the “Great Oriental Civilization” which was comparable to the “Occidental Civilization.” Sekino’s perspective to see the Korean art from the evolutionary point of view, which saw it through the diagram of the ‘birth-maturity-decline,’ left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intellectuals of Jose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Japanese scholars, including Sekino, tried to characterize the art of Joseon as a link connecting the arts of Japan and China. Yet, this view is simply erroneous. What they attempted by this analysis was to find the meanings of the art of Joseon merely as the one filling up the vacancy in the Asian art, while finding the value of the Japanese art in the world history of art. In conclusion, the Japanese intellectuals established the paradigms of the Joseon art and developed it as a modern study field. By them, the Joseon art was certainly sophisticated with the Japanese reasoning and systems. This means that the Joseon art was subjected to the Japan's hegemony of knowledge, which was politically calculated. Moreover, Japan advertised and educated these art paradigms to the public. The values and historical perspectives of the Joseon art were produced by the imperial Japan. In the process, the intrinsic substances and values were changed through the processes of “de-contextualization” and were “re-contextualized” by Japan. Yet, what urges our attention is that our cultural heritage has its own substance and its material values do not change over time. This diagnosis on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art paradigms then draw our attention to the need to rectify the Japanese-made art paradig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