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역사 교과서는 객관성과 정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검증된 사실을 토대로 역사 교육이 이루어져야만 올바른 역사관을 가질 수 있으며, 그러한 역사 교육의 바탕이 되는 것이 역사 교과서이다. 우리나라 선사시대와 국가 형성기의 역사에 대하여는 자료가 빈약하고, 분단으로 인한 체제의 특수성 때문에 제한된 환경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므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검인정 교과서는 이런 현실을 바탕으로 검증된 최근의 연구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여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현행 역사 교과서의 서술 내용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몇몇 문제점은 교과서 집필 기준(안)의 제시 내용이 최근의 조사와 연구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글은 현행 역사 교과서의 선사시대와 국가 성립기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서술에 따른 문제점을 주제별로 몇 가지 설정하여 그 내용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교과서 집필 기준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선사 유적의 성격 규명에 있어 의견이 많이 나누어지는 부분이 유적의 연대에 대한 것이다. 최근 과학적인 여러 분석 방법으로 절대연대 측정을 많이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상대 연대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다양한 의견이 있다. 구석기시대의 연대는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70만년 전으로 서술하고 있지만, 최근의 연구에서 이렇게 이른 연대로 해석한 견해는 없다. 신석기시대의 연대는 대부분 1만년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것은 제주 고산리 유적, 양양 오산리 유적, 창녕 비봉리 유적 등의 조사 결과다. 청동기시대의 연대는 문화의 분포 범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고조선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시작 연대는 기본적으로 기원전 2천년 경에서 1천 5백년 경으로 서술하고 있지만 교과서마다 기원전 1천년 경, 기원전 7백년 경 등으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역사 교과서의 첫 부분에는 인류의 진화와 기원에 관하여 서술되어 있다. 그런데 교과서마다 최근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고 있지 않아 서술에 큰 차이가 있다. 무엇보다 구석기시대의 사람은 ‘역포 사람’, ‘덕천 사람’, ‘승리산 사람’, ‘흥수 아이’ 등 한반도에서 조사된 것만 소개하고 있어 만주지역의 구석기 문화를 이해하는데 문제가 되고 있다. 농경 문제에 관한 역사 교과서의 서술은 농사에 따른 곡물과 농기구를 중심으로 설명되고 있다. 신석기시대부터 벼농사가 실시되었지만, 모든 교과서에는 청동기시대 남부지역이나 저지대에서 벼농사가 이루어졌다고 서술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현행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는 고인돌을 통하여 청동기시대 사회상을 중요하게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고인돌에 묻힌 사람을 지배자로만 해석하고 있어 앞으로 다른 관점에서의 해석이 필요하다. 또한 고인돌의 형식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는 개석식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사에 있어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은 나름대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고조선의 건국 시기, 단군 신화, 강역과 중심지 문제, 정치체 등에 대한 최근 연구 성과의 반영이 상당히 미비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문제는 앞으로 여러 관점에서 활발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History textbook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precondition accuracy and objectivity. Education on history is based on history textbooks. Historical researches on the prehistoric age and the formative period of Korea have been conducted in the limited environment due to the poor historical materials on them and the peculiarities of the systems caused by the division. Among the opinions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prehistoric sites, the views on the date of sites are greatly different. Though the scientific absolute dating like carbon dating are recently used by many archaeologists, high dependency on the relative dating makes the views various. Though the Paleolithic Age is described as 700,000 ago in most textbooks, the early view on the Paleolithic Age does not exist in the recent study. The Neolithic Age dates back to 10,000 ago. This date is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ncluding Gosan-ri site in Jeju, Osan-ri site in Yangyang and Bibong-ri site in Changyeong. The period of the Bronze Age in Korea is important, for it is directly related with Gojoseon. While most Korean history textbooks stated that the beginning of the Bronze Age was around 2000 BC~1500 BC, some textbooks showed a slight difference by stating that it began around 1000 BC and 700 BC. The evolution and origin of hominid are described in the first part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Because each textbook does not reflect the latest research achievements,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the description of them. Description of the history textbooks on agricultural issues has been focused on the grains and farming implement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rice farming began in the Neolithic Age, all history textbooks stated that the rice farming started on the southern and swampy places in the Bronze Ag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fact in the history textbooks. The social aspects in the Bronze Age is mainly described through dolmens in the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As the people buried in the dolmens are chiefly interpreted as the rulers,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m are needed in the future. Gojoseon, the first country in Korean history, has its own significant meaning. The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period of founding Gojoseon, the legend about Dangun, the issues about the borderline and the capital and the political system must be reflected in Korean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