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초기 북한의 역사학계에서 진행된 단군신화를 둘러싼 논의가 어떠한 문제의식 속에서 진행되었으며, 어떠한 결과로 귀결되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북한의 고조선 논쟁은 1959년에서 1963년까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주요 쟁점은 고조선의 위치와 영역에 대한 문제였다. 고조선의 중심지를 요녕설(遼寧說)과 평양설(平壤說)로 보는 견해가 대립하였는데, 요녕설은 주로 역사학자들이 주장하였고 평양설은 고고학자들이 주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역사학자들의 요녕설이 논쟁의 우위를 차지할 무렵 단군신화에 대한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토론을 주도했던 연구자는 요녕설을 강력하게 주장했던 리상호와 리지린이다. 이들은 단군신화의 역사성을 강조하면서 신화 속에 내재된 역사적 사실을 찾으려고 하였다. 그 결과 북한 역사학계는 단군신화가 원시사회 이래의 현실을 반영하는 고조선의 건국신화이며, 국가의 기원과 역사지리 문제 등에서 중요한 사실을 기록한 신화라고 인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식민지시대 민족주의 계열의 단군신화 연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 기반한 백남운의 단군신화 인식을 비판하기도 한다. 결국 이 당시 단군신화와 고조선 연구의 사학사적 의미는 북한 역사학계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서 북한식의 민족주의 역사학으로 전향(轉向)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what kind of problematic consciousness was involved in the discussions about the Dangun myth in the historical studies circle of North Korea in its early days and what results they reached. The disputes over Old Joseon in North Korea were intensive between 1959 and 1963 with a focus on the location and area of Old Joseon. There were two confronting views on the central location of Old Joseon: one argued it was Liaoning, and the other argued it was Pyeongyang. The former argument was usually led by historians, whereas the latter by archaeologists. About the time when the argument to support the Liaoning theory by historians took dominance over the other, a panel discussion took place about the Dangun myth. The panel discussion led by Lee Sang-ho and Lee Ji-rin that were strong advocates of Liaoning theory. They tried to find historical facts inherent in the myth, putting an emphasis on its historicity. As a result, the North Korean circle of historical studies recognized that the Dangun myth was the founding myth of Old Joseon to reflect the reality since the primitive society and contained important records of facts about the origin, history, and geography of the stat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researches on the Dangun myth and Old Joseon those days, however, was that it provided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the North Korean circle of historical studies to convert from Marxist historical studies to North Korean-style nationalist historical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