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실제적인 운영에 대한 현장실천가들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시행 초기단계에서는 사업의 이해부족, 지역사회 자원연계의 어려움, 교사와의 협조 문제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이 표출되었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업의 효과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사업 운영에 대한 모니터링 등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운영 및 관리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운영과 관리를 위해 고용된 인력인 지역사회교육전문가와 프로젝트조정자를 대상으로,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업 운영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사업의 목적에 대해 명확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역사회기관의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해서도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면, ‘제도변화 추구형’으로 명명한 제Ⅰ유형은 사업의 목적에 대해서 정확히 인식하고 있으나, 프로그램의 운영, 지원체계, 서비스 등 다양한 차원에서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유형은 2-3차년도 프로젝트조정자들의 의견을 포괄하였다. ‘사업효과 인식형’으로 명명한 제Ⅱ유형은 사업에 대한 목적 인식뿐 아니라 프로그램 운영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 유형은 5년차 지역 현장실천가들의 의견을 포괄하였다. ‘관리 추구형’으로 명명한 제Ⅲ유형은 사업에 대한 인식, 진행자의 전문성 등에 사업의 목적과 내용면에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자원봉사자의 활용, 중도탈락자의 관리 등 일부 사업관리적인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There was a lot of problems such as misunderstanding of the object, noncooperation with teachers, insufficient of information for the community resources and so on in the first stage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zone. But over times such problems have reduced smoothly. Now the systemic diagnosis of program implementation is needed for raising the program effect in the z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ceptance of practitioners for program implementation in the zone using Q methodology as the foundation stage of program monitoring. The subject of study is 27 practitioners in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zone. We categorized the acceptance of practitioners into 3 different types. First, they thought there were various problems of program implementation. This type was included all project coordinators in the second and the third stage zone. Second, they were satisfied with most of aspects for program implementation. This type was included all workers and project coordinators in the first stage zone. Third, they thought the majority of elements positively but some of program management nega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