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역자활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들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정도를 탐구하고 이들에 대한 영향요인을 탐구한 것이다.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관한 선행 연구결과를 통해 직무 만족과 이직의도의 상당한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직의도에 대한 직무만족의 일차적 영향력 외에 직무특성을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선정하였다. 현재 지역자활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1,391명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중심으로 통계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자활센터 실무자들의 높은 이직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활사업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이직율이 꾸준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결과 직무만족에 대하여 인간관계가 직무만족에 주요한 변수로 나타났고, 보상체계인 보수와 승진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직의도의 경우 오히려 보수 및 승진과 같은 요인이 이직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활실무자의 경우 보수와 승진체계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이직의도에는 강력한 인과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이직의도에 대한 직접, 간접 효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셋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이 조절변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결과를 고려하여 자활실무자에 대한 정책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practician's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leave in Self-Sufficiency Promotion Agency in Korea. Since an attempts to find structure of practician's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leave is supposed to contribute the strengthening of Self-Sufficient Promotion Agency. Based on a review of literature which suggests four major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 on practician's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leave are wage level, promotion, supervision relation, and co-worker rel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ian's leaving rate is very high from the beginning. Second, supervision relation, and co-worker relations have influence on practician's job satisfaction. But wage level and promot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influence on practician's intent to leave. Third, as control variable, socio-economic characters have direct influence on practician's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le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