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의 감축관리 시대에 있어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직접 전달자인 사회복지사들의 사기와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노인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무순환제도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고, 이 세 변수들 사이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며, 이와 관련된 이론적ㆍ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전수조사(우편조사)를 통해 수집된 275부의 설문지 가운데 직무순환제도를 명문화하고 있는 노인복지관에 근무 중인 사회복지사가 응답한 설문지 181부를 대상으로 Baron & Kenny (1986)의 매개효과 검증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순환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복지사들이 직무순환을 통해 자신들의 경력발달경로가 잘 고려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직무만족이 더 높아진다. 둘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직무만족은 직무순환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한다. 즉, 한편으로 직무순환이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직무순환이 직무만족을 거쳐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순환제도의 도입 및 운영과 관련된 이론적ㆍ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Despite the fact that there have been plenty of studi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none was specifically addressed to integ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rot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social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job rotation system in senior welfare centers could affect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social workers working for those centers. Following a previous literature review,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 total of 26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SPSS 13.0. According to the social workers' view,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job rotation among social workers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2) job rotation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3) job satisfaction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4) job satisfaction could be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job ro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number of recommendations were made in relation to implementing job rotation periodically and fai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