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가정유형과 학업성적 및 양육방식에 따른 청소년들의 진로포부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남 소재의 초등학교 3개교, 중학교 6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724명의 응답을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SPSSWIN/ver 14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x²검정 및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진로포부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교육포부와 직업포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포부와 관련해서는 가정유형과 학업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교육포부와의 관계에서는 민주형 양육방식이라고 응답한 청소년의 교육포부가 대학교 졸업 이외의 학교단계별로 균형적인 비율을 가지고 있으나, 권위형과 방임형인 경우 상대적으로 고교 졸이 많았다. 가정유형과 성적 및 양육방식에 따른 직업포부와의 관계 분석 결과 직업포부가 가정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지만, 성적과 양육 방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가정유형의 청소년들의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 차원에서 필요한 노력들과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how family type, academic score and upbringing style affects on the adolescent's career aspiration. Subjets were 724 primary-,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eved in Chung-Nam. Chai-square test, Frequencies, Percentage with SPSSWIN/ver 14 were used for analyzing data. The adolescent's career aspiration was supposed to compose of educational aspiration and job aspiration based on the precedented studies. The result of analysis was found that one-parent or grand-parent family showed double fold ratio of high school graduation comparing to that of two-parent family. The result said the deficit family, family type, and revenue level and score entirely affects on adolescent's educational aspiration. In case of family that cared by democratic way, they maintained a good balance between University graduation and other activities in their educational stage, but family cared by authoritative or abandoned way just satisfied at high school education. In analyzed result, career aspiration by family type does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 in statistic perspective, but career aspiration by score & upbringing wa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Finally, the effort of school and community dimension for help to grow and develop various family's adolescent and the limitation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