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이혼가정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이성애착이 정상가정 청소년과 어떻게 다른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소재의 고등학생 497명이었으며, 이들에게 부모애착질문지, 이성애착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모 애착은 부 애착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이를 성별로 구분했을 때, 부 애착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지만, 모 애착에서는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이혼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의 청소년들보다 부모애착이 더 낮았다. 셋째, 이혼가정 청소년은 정상가정 청소년에 비해 이성교제를 더 많이 하고 있으며, 이성애착의 의존, 친밀 점수는 정상가정 청소년에 비해 더 낮고, 불안 점수는 더 높았다. 넷째, 이성애착 유형에서, 이혼가정 청소년은 정상가정 청소년에 비해 남자의 경우 불안/양가형이, 여자의 경우 회피형의 비율이 더 높았다. 다섯째, 부모애착과 이성애착간의 상관은 낮지만 유의한 상관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divorced family in adolescent's parent attachment and romantic attachment, and then look into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romantic attachment. Subjects were 497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d in Seoul. Instruments were IPPA-R and RAA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to mother is higher than attachment to father. And male is higher than female in attachment to father. But mal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female in attachment to mother. Second, the adolescent from divorced family has lower parent attachment than normal. Third, the adolescent from divorced family experienced more romantic relationship than normal, and their dependency and intimacy are lower, but their anxiety is higher than normal. Forth, among adolescent from divorced family, there are many avoidance type in male, and anxiety/ambivalent type in female. Fifth, the correlation of parent attachment with romantic attachment is low but significant.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