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통일’과 ‘통합’을 비롯한 ‘정치문화’ 등의 정의를 고찰하여 ‘통일문화’의 개념화를 시도하고, 청소년의 통일문화 형성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급격한 사회문화 변화에 따른 청소년의 정체성을 진단한 후, 이들의 정체성이 통일관 형성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논의하였다. 먼저, ‘통일’, ‘통합’, ‘정치문화’ 등의 주요 개념을 고찰하여 논의한 결과 “통일문화는 특정 지역, 계층, 세대만이 공유하는 가치체계가 아니라, 사회구성원 전체가 공동의 가치로 공유할 수 있는 통일 의식”이라고 정의하였다. 특히, 통일문화는 정부를 비롯한 특정 집단이 단기간에 걸쳐 주도적․조작적으로 형성하거나 청소년들에게 강제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성격이 아니라는 것을 지적하였다. 즉, 사회구성원들의 내․외연 모두를 아우를 수 있고, 장기적 노력을 통하여 형성 가능한 개념인 것이다. 따라서 통일문화는 무엇인가를 하기 위하여 특별히 준비하고 관련 지식을 별도로 습득해야만 하는 것에서 벗어나, 일상의 삶 속에서 참여할 수 있는 생활세계의 일반화를 지향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보․지식사회의 선도적 삶을 살아가고 있는 청소년들은 앞으로 점점 더 딱딱하고 난해한 문제들로부터의 탈출을 시도할 것이다. 청소년들에게 통일문제가 현재와 같이 특별한 문제로 인식될 경우에 그것은 기성세대만의 담론으로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tasks and problems of the youth education on Korean unification, and conceptualizing ‘unification culture’ through clarifying the notions of ‘unification’ and ‘integration’. To achieve this goal, it analyses the evolving identity of the youth caused by the social changes and its impact on their attitude toward unification. By analysing the main concepts of ‘unification’, ‘integration’, and ‘political culture’, unification culture is the national consensus on unification rather than limited notion that derives from the value system of the special area, class, and generation. In particular, it is said that the youth education on unification should not be manipulated by the government's short-term policy or special group's political calculation. That is to say, it could be ideal when the unification culture is made by the shared values and norms of Korean society. Under this culture, the main task of education is to generalize the youth's perception of unification issues for the long-term period. This is a vital process because it could reduce the generation gap between the young and the old over Korean unification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