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시설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자립지원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성별, 연령별, 집단규모별 효과성을 분석함으로써 자립지원프로그램을 질적으로 발전시키고 제도화하는데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전국 10개소의 아동양육시설과 2개소의 공동생활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는 14세~19세까지의 청소년 중 2008년 2월부터 10개월간 자립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26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시행되었다. 측정도구로는 자립기술평가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프로그램의 영역별 효과성 분석을 통해 나타난 자립지원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일상생활, 자기보호, 지역사회자원활용, 돈관리, 사회적 기술, 진로탐색 및 취업기술, 직장생활 등 모든 영역에서 청소년의 자립기술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연령별, 집단규모에 따라 유의미한 효과성이 나타나지 않는 영역도 있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기술은 5명이하의 소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15명 내외의 일반집단에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진로탐색 및 취업기술은 남자 중학생집단과 15명 내외의 일반집단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직장생활기술은 여학생집단에게서 효과성이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제시하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시설보호기간 동안 자립지원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하여 전담인력과 표준화된 프로그램의 제공 및 예산지원이 필요하며 시설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실행체계가 요구된다. 또한, 사회적 기술, 진로탐색 및 취업기술, 직장생활기술 프로그램에서는 소규모 맞춤형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영역에 따라서는 성별, 연령별 차이에 따른 구체적인 프로그램세분화로 청소년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할 것이다. 즉 청소년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운영을 통해 수요자중심의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립지원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independent living programs for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and discuss how to vitalize the programs based on results from the analysis.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68 adolescents in 12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rom February, 2008 to February, 2009 using ACLSA(Ansell-Casey Life Skills Assessment). The collected data operated paired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After participating the programs, all independent living skills of adolescents in care system were improved. However, some programs were ineffective. Implications for independent living programs for adolescents in care system are discussed from this study. Firstly, the continuous and systematic programs of independent skills are needed. Secondly, we should consider the needs of adolescents. Thirdly, we need to reduce the size of program group less than 5 people. Lastly, researchers who study independent living skills of adolescent need to use various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develop independent living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