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또한 삶의 만족도의 조절효과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0 아동 및 청소년 패널조사 데이터를 2차 분석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 2,351명(남학생: 1,177명, 여학생: 1,174명)이 분석대상이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가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모든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능력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또래애착 및 학교생활적응과 공동체 의식 간에 삶의 만족도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 간의 주효과와 조절효과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과 삶의 만족도 간에도 주 효과와 조절효과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 요인을 동시에 투입했을 때는 학교생활적응에서만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또래애착과 학교생활 적응이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또한 삶의 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과의 조절효과를 통해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ffect of adolescents’peer attach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n the sense of community,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We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in 2010” data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collected from 2,351 middle school freshmen.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PASW 18.0 for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irst, all variables such as peer attachment,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life satisfac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sense of community. Stronger peer attachment and better ability to adapt school life lead to more positive sense of community. Second, adding life satisfaction as moderating effect results in impact on peer attach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When peer attach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re added at the same time, only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Also, the introduction of life satisfaction as moderating effect indicates positive relationship with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