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경제적 자립전망과 그들의 자아정체성 수준, 그리고 직업가치가 어떠한 관계를 맺는지를 경험적으로 규명하고 이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18세 이상 26세 이하의 대학생 41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대부분은 정체성의 유예기(76%)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낮은 경제적 자립전망은 자아정체성의 전념과 탐색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정체성의 전념과 탐색은 직업의 내재적 가치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정체성의 전념과 탐색은 경제적 자립전망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과 직업의 내재적 가치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경제적 자립에 대한 전망의 불투명은 자아정체성 확립을 지연시켜 심리적 유예기를 연장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적 자립에 대한 불안한 전망은 직업의 내재적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직업을 통한 청년들의 자아실현에 걸림돌이 되며, 혼인 및 출산율 감소, 개인의 적성 및 특성과 무관한 특정 직업군에 청년들이 과도하게 쏠리는 현상 등 사회적 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경제적 자립전망이 대학생들의 자아정체성 수준과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규명했을 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실천적 함의와 정책적 제안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with empirical evidence how youth’s prospects of economic independence, identity moratorium, and work values relate each other. A self-ministered questionnaire was provided to 416 university students in the ages between 18 and 26 for conducting the surve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76%) were undergoing the identity moratorium. Seco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economic independence had negative influences on both commitment and exploration of ego identity. Third, commitment and exploration had positive influences on intrinsic work values of the respondents. Fourth, commitment and exploration perfect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distance from economic independence and intrinsic work value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some implications. The insecure prospect of economic independence is the main cause of the identity moratorium and this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intrinsic work values. Insecure prospect of economic independence has some effects on social structural aspects, such as giving up searching for jobs, and labor market distortion toward secure jobs. Furthermore, the insecure prospect of economic independence would influence on the lowering of marriage and birth rate by discouraging the youth to be involved in commitment and exploration on dating relationship. This study is significant not only for its empirical identific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youth’s economic independence prospect on the identity moratorium and the work values, but also its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college students, prospect of economic independence, ego identity commitment, ego identity exploration, intrinsic work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