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을 분석하고, 구분된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에 따라 성별, 근무시설, 종사경력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소진, 이직의도, 자아존중감, 주관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국의 청소년관련기관(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단체, 청소년문화의집)에 종사하는 428명의 청소년지도사였다.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성별의 경우, 전체 428명 중 여자가 225명(52.6%), 남자가 203명(47.4%)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28명(53.3%), 20대가 120명(28.0%), 40대 이상이 80명(18.7%)의 순이었다. 근무시설별로는 청소년수련관이 193명(45.1%), 청소년수련원과 청소년단체가 각각 92명(21.5%), 청소년단체가 78명(18.2%), 청소년문화의집이 51명(11.9%)의 순이었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 잠재계층은 3개 유형(직무만족형, 동기만족형, 수단만족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결혼여부, 근무시설, 최종학력, 직위, 종사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직무만족 잠재계층유형에 따라 청소년지도사의 자아존중감, 주관적 안녕감, 소진,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관련 잠재계층유형의 특성을 반영하여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관련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latent classes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work institution, exhaustion, intention to turnover,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are 428 youth workers who work youth institutions at the nation wide. Among them, female youth workers are 225(52.6%), male youth workers are 203(47.4%). Youth workers between 30-39(age) are 228(53.3%), youth workers between 20-29(age) are 120(28.0%), youth workers over 40 years old are 80(18.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ree latent classes of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job satisfaction type, motivation satisfaction type, means satisfaction type). Secon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marital status, work institution, education, position, employment period. Third, there are differences among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latent classes, exhaustion, intention to turnover, self-esteem,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related policy must be sugges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latent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