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수사학은 유토피아적 열정으로 살아가는 학문이다.” 바바라 비세커(Barbara Biesecker)는 영미수사학계의 판도를 바꿔놓은 1992년의 「미셀 푸코와 수사학의 문제」(“Michel Foucault and the Question of Rhetoric”)의 서두를 이와 같이 선언적 문장으로 장식하였다. 수사학은 철저하게 저항적이며 전복적이어야 하기 때문에 정치적 개입을 통해 사회 변혁을 꾀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사학의 정치적 전환’이라 부를 수 있는 이러한 움직임은 우리나라의 수사학계에게 매우 낯설게 들린다. 한국수사학회에서 발간하는 『수사학』에 실린 논문을 보면, 대부분 ‘설득의 기술’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명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수사학의 생명력」에서 양태종은 “수사학의 효과목표는 예나 지금이나 설득이다.”고 말하였다. 최근의 연구가 기여한 것이 있다면, 논증과 소통의 기능이 수사학의 주요 영역으로 추가되었다는 정도이다. 그런데 설득이든 논증이든 수사학 연구가 정치적이거나 저항적이지 않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계몽된 화자(가진 자)가 그렇지 못한 청자(가지지 못한 자)를 논증이나 설득을 통하여 계몽하는 데에 초점이 모아지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수사학은 저항의 담론이 아니라 지배의 담론이며 권력의 테크닉이다. 지배의 담론으로서 수사학은 우리나라의 수사학계를 지배하는 특징이다. 비세커와 같은 수사학자가 자신의 이론을 다지기 위해 자주 원용하는 푸코(Michel Foucault)가 우리나라 수사학계에 진지하게 논의된 적이 없었다는 사실이 단적인 증거이다. 1970년대 이후로 영미 수사학계에서 푸코만큼 많이 논의된 학자를 찾기 어려우며, 우리나라에서도 수사학계를 제외하면 문학이론이나 철학, 사회학의 분야에서는 그에 대한 논의가 끊이지를 않았다. 푸코의 주요 저서도 대부분 우리말로 번역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사학적 관점에서 푸코를 조명한 연구가 부재한 이유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나는 우리나라 수사학이 지배와 권력의 수사학에 지나치게 편향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영미 수사학에 대한 소개도 그러한 편향성을 반영하고 있다. 비세커는 언급된 적이 없는 반면에 그에 비해서 학문적 영향력이 미미한 제임스 크로스화이트(James Crosswhite)의 저서 『이성의 수사학』(Rhetoric of Reason)이 우리말로 번역된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 전자가 수사학의 급진적 정치화를 꾀한다면 후자는 이성이라는 중립적 관점에서—보수적으로—수사학을 접근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수사학 연구는 정치적 진공에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This paper is a theoretical attempt to propose a rhetoric of resistance as an alternative to the rhetoric of persuasion. The reason as well as the necessity for such a proposition is founded on my conviction that rhetorical studies in Korea are mainly dominated by the time-old Aristotelian version of rhetoric as persuasion. As such, it happens that figural analyses of literary text, not specifically mentioning persuasion, are regarded as irrelevant to the domain of rhetoric. Of course, there are few scholars, who struggle to extend rhetoric and apply its methodology to the study of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and philosophy. However, we cannot deny the fact that rhetoric in Korean academia is understood mainly as something pertaining to persuasion. It is in this context that I redefine rhetoric more broadly as the process of signification and its effects on society, ‘discourse’ in Michel Foucault’s term. Discourse is inseparable from power and truth as well as from subjectivity, and there is always resistance wherever power is. For Foucault, power is not only repressive but productive as well. I find his theory of power as both repression and production is essential for constructing ‘rhetoric of resistance.’ The subject, who is formed by dominant discourse of the society, can resist also by using it differently. What is important for rhetorical resistance the fact that the site of powerful discourse is called topoi(commonplaces), ideas or set of expressions taken for granted as convincing and persuasive by general public. Power is constituted through such topoi as well as authorized forms of knowledge. Then it follows that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to power comes from different practice of topoi. I argue that we should be strategically subjected to topoi in order to destabilize and subvert their authority. How? By selecting, combining, rearranging, and redistributing those system of commonplaces in a way that their hold on us is weakened, undermined, and destabilized. As Achilles’ spear wounds and heals at the same time, topos of power become the topos of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