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글은 효행설화의 몇 가지 특징적인 국면을 제의적 전통이라는 특별한 맥락에서 새롭게 이해하기 위해 준비되었다. 효행설화에는 평범한 논리로는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그럴듯하지 않은 설정이 많고 담론의 스펙트럼이 필요 이상으로 확대되어 있다는 점이 주목을 요한다. 특히 효행설화가 죽음과 관련된 서사를 많이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희생제의와의 관련성을 추론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자신의 자식을 죽음으로 몰아넣거나(유아살해) 자신의 신체 일부를 훼손하여 부모의 병을 고친다는 효행설화의 설정은 재앙으로부터 공동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신이라는 절대적 존재에게 희생양을 바치는 희생제의의 메커니즘을 많이 닮아 있다. 또한 일부 불효설화에서 보이는 부모 살해 모티프는 신의 재생을 위해 신적인 존재를 죽이는 희생제의의 전통과 일정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효행설화가 고대적인 희생제의의 전통을 이었다고 하는 것은 고대적인 종교적 커뮤니케이션이 중세적인 윤리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전화하였다는 것을 말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전화가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종교적 커뮤니케이션에서 전제되었던 신이라는 존재를 윤리적 커뮤니케이션에서 한껏 강조된 부모라는 존재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이러한 전화가 시대적인 차이로 인해 깔끔하게 마무리될 수 없어 효행설화와 관련된 여러 가지 인식의 충돌이 빚어질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This study is prepared to understand newly some filial story’s special aspect from sacrificial rites’ point of view. Filial Story has many motives pretty hard to swallow and contrary to logic. Specially, filial story has many decease narrative. Because of this point, we can link filial story to sacrificial rites. The process that one kills one´s children, infanticide motive, to rescue one’s parents from their sickness or hunger, bears some resemblance to sacrificial rites’ mechanism that community kills scapegoat to rescue it from misfortune. We can consider that the motive to kill father or mother in non filial story, is related to sacrificial rites’ tradition to kill god to revive him. The fact that filial story succeeds to sacrificial rites’ tradition, tells us that ancient religious communication is transformed to medieval ethical communication. We think that parents to be emphasized in the Middle Ages, would substitute for ancient god. But this change is not accomplished perfectly. Because of it, we experience a lot of collisions of cog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