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전국의 굿에서 두루 존재하는 ‘군웅’ 신격의 해명을 위한 하나의 단계적 글이다. ‘군웅’은 많은 지역에서 무(武), 군(軍)신으로서 제액을 막아주는 구실을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이기도 하지만, 서울, 경기, 제주도는 그 특수성이 있어서 별도로 다루어야할 사정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서울굿의 ‘군웅’에 대해 의미 해명을 이미 시도하였고, 이번에 경기도 도당굿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하나의 굿거리의 해명은 가장 작은 단위로 무가를 중심으로 한 그 굿거리의 분석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러나 그 굿거리가 전후의 다른 굿거리와 어떤 관계를 맺으면서 한판의 굿으로 완성되는지 그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다른 기능의 굿에서는 그 굿거리의 존재 또는 의미 내지는 기능을 비교함으로써 하나의 굿거리 의미를 밝힐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경기도 도당굿에서 군웅굿은 여러 직능신을 개별적으로 모셔 대우하는 ‘각신 대우’의 단계에 존재하고 있다. 굿의 끝부분에 연행되며, 화살 쏘기를 통해 제액방지를 핵심으로 하고 있는 것은 서울의 마을굿인 부군당굿이나 도당굿들에서 보는 보편적인 모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굿거리의 위치나 내용 등이 서울의 마을굿과 유사하지만 그 연행의 모습은 다르다. 경기도 도당굿에서 ‘군웅굿’은 무가에서는 좀처럼 ‘군웅’이 어떤 신격인지 단서를 내주지 않았다. 오히려 연행으로 배치된 ‘활쏘기를 통한 제액 방지’를 통해 마을의 액살을 방지해주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경기도 도당굿은 마을굿이다. 대표적인 개인굿인 도신굿과 새남굿에서는 군웅굿이 조상굿과 같은 굿거리로 때로는 긴밀하게 전후로 연결된 굿거리로 존재하고 있음을 통해 개인굿의 군웅은 ‘조상’관련 신격으로 관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one of the phases of articles to clarify the “Gunwung(軍雄)” divinity present in shamanistic rituals in Korea. In many regions, “Gunwung” is common in that it plays a role of divinity, general and military, preventing calamity and misfortune; however in its uniquenes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Jeju Island, there is a reason why the divinity has to be dealt with separately. Thus, this researcher already attempted to clarify the meaning of “Gunwung” in Seoulgut, and this research has Dodanggut of Gyeonggi province as its subject. An explanation about gutgeori, or shaman’s performance, starts from analyzing it from its smallest unit, a shaman song (巫歌). But, one must understand the context of how a particular gutgeori makes a relation with another gutgeori to complete one full round of a ritual. In addition, by comparing with the existence, meaning or function of that gutgeori in the ritual of another occasion, one can expec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complete gutgeori. “Gunwunggut” in Dodanggut of Gyeonggi province exists in phases of “treating ministers” in individually serving various functional deity (職能神). It is confirmed that the end of the ritual is performed and misfortune being prevented by shooting an arrow are conventions in Bugundanggut, the Maeulgut of Seoul or Dodanggut. Overall, the location and content of the gutgeori are similar to the Maeulgut of Seoul, but its performance is different. In Dodanggut of Gyeonggi province, gunwunggut’s shaman songs barely hint what divinity “gunwung” is. Rather, it can be known that “preventing misfortune through shooting an arrow” allocated as a performance prevents calamity and misfortune of the village. On the contrary, Dodanggut of Gyeonggi province is a Maeulgut (a well-wishing ritual for a village). In Dosingut and Saenamgut, the representative Gaeingut (a well-wishing ritual for an individual), since gunwunggut, which is treated like a Josanggut (a well-wishing ritual for ancestors), exists as a closely connected gutgeori, it is known that “gunwung” of Gaeingut is regarded as ancestor-related divi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