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조선시대 해안의 주요 전초기지의 하나로서 해안 관방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했던 경상좌수영성의 군사적 의례의 전승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보고, 의례 전승에 나타나는 지역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변화와 관련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관방성의 의례는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생활공간으로서 읍치사회를 구성하는 제 세력들의 이해가 드러나고 조정되는 정치사회적 공간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의례의 지속과 변화를 다루는 것은 지역사회의 제 이해관계가 거시적인 사회적 변화에 조율하는 과정에서 드러내는 행위자들의 취사선택의 의지를 인식하는 작업이 될 수 있다. 경상좌수영성에서 행했던 둑제의 민간신앙화, 민간신앙의 대상이었던 인물신의 국가제사인 둑제의 신격과의 중첩 개연성, 지역의 주요 집단에 의한 향사의 주관, 최근 관의 지원으로 전승되는 향사를 통해 의례의 지속과 관련된 여러 집단의 의지와 이들이 의례에 부여하는 의미의 지속과 변화를 살필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the national rituals in Gyeongsangjoasuyoung fortress which was one of naval headquarters in the Joseon dynasty. Dukje was one of the national rituals carried out periodically for memorizing the military diety at military bases in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reformation of the end of 19th century, most old institutions including most national rituals like Dukje had been abrogated. Transmission basis of Dukje at Gyeongsangjoasuyoung fortress has been weakened after the reformation. Ritual performers has been changed from officials to civilians, as a result the ritual has been transmitted as a form of folk religion. However another national rituals carried out periodically at Gyeongsangjoasuyoung fortress for memorizing 25 martyrs who resisted and died against Japanese army in the late 16th century has been lasted until a few decades ago by the descendant of old ritual performers. Difference in transmission of the two national rituals reflects agents’ choice whenever they should adjust to the macroscopic social change. Because the rituals at military base have not only had their own religious significance but also served as a sociopolitical space which interests of groups concerned had been revealed and adju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