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이슈에 엮인 댓글이 해당 이슈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을 추정하는단서로 작용할 가능성에 주목하여 댓글의 논조와 숫자, 이슈에 대한 태도가 해당이슈에 동의하는 사람들의 퍼센티지를 추정하는 데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했다. <연구 1>에서는 댓글의 논조(찬, 반)와 숫자(0,1,3)를 달리하여 해당 이슈에 동의하는 사람들의 퍼센티지를 측정했으며 연구결과, 합의추정치는 댓글의 특성에따라 일관된 차이를 보였다. 곧, 찬성논조의 댓글을 읽은 그룹은 반대논조의 댓글을 읽은 그룹보다 동의하는 사람들의 퍼센티지를 더 높게 추정했으며 댓글의 숫자가 증가함에 따라 합의추정치가 증가했다. <연구 2>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합의성착각 효과(False Consensus Effect)로 파악하고 사전태도 변인을 추가하여 댓글의논조와 숫자가 합의성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FCE의 측면에서 고찰했다. 연구결과,FCE에 상응하는 패턴이 부분적으로 발견돼, 댓글이 없는 경우 14.24%의 FCE,찬성 댓글노출의 경우 19.34%의 FCE, 반대댓글 노출의 경우 16.69%의 FCE를관찰할 수 있었다.


This study reports the findings from two studies which examine the effect of Internet replies on public opinion perception. In Study 1, the Internet replies were manipulated by the quantity and stances toward an issue. Public opinion perception was measured by the percentages of people who agree to the issue. The results are that depending on the quantity and stance in Internet replies, the estimated percentages consistently vary; the estimated percentage of consensus was greater when the Internet replies favor the issue and when the greater number of Internet replies was provided. Based on Study 1, additional variable was considered in Study 2 to examine the effect of prior attitude toward an issue. Study 2 found out that the estimations of consensus are different accordingly by prior attitude. The findings ware interpreted as the false consensus effect. In particular, 14.24%of FCE was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19.34% of FCE in the condition of reading the Internet replies which support the issue and finally 16.69% of FCE in the con-condition of reading the Internet replies which oppose the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