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V 프로그램을 둘러싼 SNS 상호작용이 어떤 특징을 갖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트위터 글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TV 프로그램의 장르(드라마, 예능, 시사토론) 및 시청 단계(방송 전/중/후)에 따라 SNS 상호작용의 속성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장르별 분석 결과, 드라마에서는 긍정적 관점의 글이 많은 반면 예능에서는 중립적 관점의 글이, 토론 장르에서는 부정적 관점의 글이 가장 많았다. 드라마와 예능에서는 정서적 속성의 글이 많이 발견되는 반면 토론 장르에서는 기타에 해당하는 글이 많았다. 전반적으로 감정적 반응을 표출하는 글이 가장 많았으며, 드라마는 단순한 프로그램 언급이 많았고 예능과 시사토론에서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평가하는 글이 많이 발견되었다. 드라마와 예능에서 상호작용 대상은 주로 해당 프로그램을 보고 있는 시청자들이었으나, 시사토론의 경우에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시청 단계에 따른 트위터 글의 특징을 분석하였는데,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글과 긍정적인 글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가운데 방송 전에는 긍정적인 글이, 방송 후에는 중립적인 글이 더 많았다. 또한 방송 전에는 행위적 정보추구에 관한 글이 많은 반면 방송 도중과 이후에는 감성적인 느낌이나 이성적 평가에 관한 글이 많았다. 이러한 일련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TV 프로그램을 둘러싼 SNS 상호작용이 갖는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NS interaction about TV programs, this paper attempts a content analysis on twitter posts. This study analyzes how SNS interactions varies depending on the genres of TV shows (drama, entertainment, debate) and TV viewing steps(before/during/after the TV show on ai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genre analysis, positive posts are dominant in drama, neutral posts in entertainment, and negative posts in debate. Whereas emotional posts are mostly found in drama and entertainment, 'the other' posts rank high in debate. On the whole most posts are related to emotional reactions while many simple comments on the programs are noticed in drama and plenty evaluation is continued in entertainment and debate. The twitters interact mainly with the involved audience of the show in drama and entertainment, but with an unspecified audience in case of debate.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itter posts according to the TV viewing steps indicates that generally neutral and positive posts are frequent while positive posts are more persistent before broadcasting and more neutral posts are found after air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this study discusses further the implications of SNS discourse surrounding TV sh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