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30대 이상 성인 남녀 31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상에서 개인정보를‘노출’하는 행위와 ‘보호’하는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보호 동기 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온라인에서개인정보를 노출하는 행동과 보호하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개인정보 노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지각된 심각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층 인터넷 이용자가 개인정보 노출 피해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개인정보노출 행동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정보 보호 행동은 지각된 자기효능감과 개인정보 보호 관련 지식, 그리고 지각된 취약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층 이용자의 지각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개인정보보호 관련 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지각된 취약성이 높을수록 온라인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행동 역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온라인 개인정보 유출피해를 줄이기 위한 두 가지 전략적 행위(개인정보 노출 행동 감소와 개인정보보호 행동 증가)의 동기가 다름을 보여준 것이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개인정보 관련 디지털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교육 및 홍보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겠다.


Based on a survey of 371 adults 30 years or older, this study examined predictors of the ‘disclosure’ and ‘protection’ behaviors of privacy information, using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Results showed that the predictors were different for privacy disclosure and privacy protection. Specifically, perceived severity was the major predictor of privacy disclosure, such that one is less likely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when perceived severity is high. On the other hand, self-efficacy, knowledge, and perceived severity were predictors of privacy protection. One is more likely to engage in protection behaviors when self-efficacy, knowledge, and percevied severity are hi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wo behaviors (reducing privacy disclosure and increasing privacy protection) are motivated by different psychological factors. The findings could be applied to design effective digital literacy programs for older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