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국내외 통일환경 변화에 맞게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수정․보완해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개진되고 있다. 그러나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새로운 통일방안으로 대체하거나 전면 수정하는 작업은 비현실적이다. 우리 사회에 엄존하는 남남갈등, 보혁갈등이 심각하기 때문에 설령 새로운 통일방안을 만들어 내더라도 국민적 합의를 확보할 가능성은 극히 낮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필자는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골격을 유지하는 가운데, 이를 일부 보완․발전시키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예컨대, ①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통일과정 1단계인 화해․협력단계에 대한 조정 필요성, ② 북한인권 개선이나 북핵 문제의 해결 없이 자유민주통일이 어려운 현실을 감안하여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2단계인 「남북연합」 진입 조건으로 이들을 적절하게 반영할 필요성, ③ 통일한국의 미래상을 보다 구체화할 필요성 등을 지적하였다. 차제에 우리 국민이 자유민주통일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갖는 것, 또 연방이라는 방식의 국가조립을 서두르는 것이 아니라 「민족공동체」 형성의 기반을 조성하고 확산시켜 나가는 것이 통일방안의 수정․보완보다 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In recent times voices for revising or supplementing the "Korean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Formula"(KNCUF) are made steadily in accordance with changes of unification environment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But it is unrealistic to replace or wholly revise the existing formula. Even if we work out a new unification idea, it is almost impossible to secure a national consensus therefor. That is why there has been a so-called "South-South conflict" which means a sharp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in South Korea. Thus amending or supplementing the KNCUF in part on the premise of its maintenance could be considered an alternative. In this perspective, the author suggests such measures as (1) adjustment of the stage for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first phase of the KNCUF, (2) specification of the conditions for entry into the "Korean Commonwealth", second phase of the KNCUF, including improvement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and settlement of North Korean nuclear issues, (3) concretization of the future prospects of the unified Korea, etc. Related to Korean unification issue, we cannot ov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firm self-conviction for or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free and democratic unification, laying and intensifying the foundation for a single national community on the peninsula instead of hurriedly building a state system under a cover of fed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