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안보 패러다임 분석틀에 따라 동북아 지역안보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세계사적 탈냉전으로 인해 동북아 지역에서도 역내 국가 간 경제협력 및 상호 의존도가 심화되고 있으나 강대국들의 전략적 이해관계와 군사안보정책이 상충하고 있어, 동북아 안보구조는 기본적으로 냉전적 속성이 지배적인 가운데 탈냉전적 속성이 교차되고 있는 중복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동북아에서 다자안보협력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잠재적 안보갈등 요인이 극복되지 않는 한 국가안보 패러다임에서 국제안보 패러다임으로의 완전한 전환은 결코 쉽지 않다. 이에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는 양자동맹을 병행ㆍ보좌하는 다자기구 창설 등 점진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래야 동북아 다자안보와 역내 안정성의 중요한 축인 미국의 참여를 보장하여 미국이 방관자 또는 불개입의 자세를 갖는 것을 견제할 수 있고, 미국의 참여로 대항 파트너인 중국과 러시아의 적극적 참여도 견인하고 북한의 다자안보협력에 대한 우호적 자세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present situation and features of Northeast Asian regional security with a security paradigm framework. On the one hand,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and interdependence have been deepening in this region because of the collapse of the Cold War, and on the other, strategic interests and military security policies of the world powers still collide with each other. Overlap, that post Cold War dimension and the Cold War one are mixed up, is a basic characteristic in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structure. Whil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this region is needed, the complete shift from national security paradigm to international security paradigm will not take the high road if the latent factors of security dilemma continues to rise. Gradual and practical measurements such as multilateral organization paralleling with bilateral alliance must be considered for the peace and stability in this region. These measurements could secure U.S. participation and thus restrain them from onlooking and noninvolving. U.S. involvement could result in positive participation of China and Russia as counter-partner and induce North Korea to be favorable to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