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과 대만은 상이한 체제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우며 새로운 국제환경에 맞는 체제로 전환하는 면모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변화는 국제적 환경변화에 따라 분단의 주체가 능동적으로 상호관계를 발전시키고 적절한 체제통합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져 왔다. 양안관계에서 나타난 법제개혁은 남북의 분단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시사점을 제공하며, 이 점에서 양안관계의 법 체제전환과 글로벌 거버넌스 연구를 통해 북한에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북한이 외국인투자 등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과 연계되기 위해서는 주요 국제금융기구와 WTO의 회원국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북한은 미국과의 국교정상화가 필요하며,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활동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이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가 신뢰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과 대만의 분단국의 법적 환경 등을 살펴보고, 북한의 시장경제 법제 구축을 위해서는 글로벌 거버넌스 차원의 국제 법제협력의 길은 무엇인지, 분단 당사국인 남한은 어떤 역할을 수행할 것인지, 그리고 분단국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북한에 적용할 경우 직면할 수 있는 한계점들은 무엇인지를 찾는데 역점을 두고자 한다.


China and Taiwan have been coping with new international environments based on their ‘One-China’ policy despite their different political systems. Such changes were formed as the two countries have been developing their relationships actively and adopting proper system integration approaches in line with the transitions in international environment. The legislative reforms that have occurred o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states offer implications with respect to the management of the divided two Koreas.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implications to North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legislative transitions of two Chinas and global governance. Amid North Korea’s attempts to revitalize its economy through foreign investments, it is critical for the country to earn the memberships of major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WTO in order to tap into affiliations with the global market further. First of all, North Korea needs to normalize its diplomatic rel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nd learn how to act as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 national trust must be secured in order to take such advances.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the international legislative cooperations in terms of global governance avail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market economy system in North Korea, the roles of South Korea for such transition, and the limitations North Korea my face in the unique situation of divided states after reviewing the legal environments of China and Tai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