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북한의 대다수 국가기관들과 인민경제부문 공장.기업소들이 자력 존속을 위해 시장에 의존하게 됨에 따라 시장 활성화가 촉진되고 국가의 경제적 역량은 더 약화되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시장에 기반한 유력한 사회집단의 형성이나 사회세력화 가능성을 찾기 어려운데, 그 주된 이유는 특수단위들의 독특한 자기재생산 기제 및 강제력 행사방식에 있다. 특수단위들은 사민 외화벌이 종사자들을 활용하여 자체 운영자금을 마련하는 한편으로 이들에 의한 잠재적인 상인자본 축적 가능성을 제거하고, 또 공장.기업소 지배인 등의 잠재적인 사적 자본축적 가능성도 차단한다. 따라서 당분간 북한정권이 시장을 철폐하거나, 정책적 의도대로 관리할 수만은 없지만, 시장 활성화가 촉진된다고 해도 ‘위로부터 관리되는 방식의 이행’같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존 지배질서에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은 별로 없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다.


In North Korea, most of the state apparatuses and state-owned factories have relied more and more on the informal market relations in order to be financially self-reliant. However, the further marketization and the state’s weakened economic capacity have not resulted in the strengthening of ‘market forces’ because the state has successfully used its repressive capacity to curb the key market agents. The judicial-security state apparatuses(JSSAs) use some non-cadres’ business abilities and investment funds to earn foreign currency. JSSAs spend some large parts of the dollar income to maintain their repressive capacities. JSSAs tolerate the non-cadres’ ‘illegal’ market activities for some years and then JSSAs get rid of them. JSSAs also inspect factory managers’ ‘illegal’ activities which may link to potential and private capital accumulation. It seems that the state can’t control completely the marketization pressure as it wishes, while at the same time the marketization process can’t bring about a ‘non-state led transition’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