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박은의 시를 평하여 "詩風이 正聲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勁健하고 放逐한 면이 있다"고 한다. 중국의 黃庭堅과 陳師道의 시풍을 함께 배워 성공한 시인으로 海東江西詩派의 맹주로까지 추대된다. 해동강서파의 시에는 奇僻한 典故, 虛字의 鍛鍊, 拗體의 빈번한 구사가 눈에 띈다. 강서시파 맹주로 추대된 박은 시의 수사기교를 이해하기 위해서 요체를 분석한 본고는 그의 문집인 『읍취헌유고』에 수록된 전 작품을 분석한 결과물이다. 박은의 근체시에서는 拗體가 다양하게 구사되고 있다. 古調·拗調·拗對·拗 등과 같은 拗體는 물론, 吳體가 사용된 사례도 적지 않다. 일반적으로 시인들이 기피하는 孤平이나 三平聲을 박은의 시에서는 적잖이 확인할 수 있다. 그의 詩風이 正聲이 아니라고 평한 제가의 평가를 실제로 확인한 셈이다. 이어서 다루게 될 박은 시에서의 奇僻한 典故, 虛字의 鍛鍊 등을 살핀다면 박은 한시의 특징은 물론, 해동강서시파의 시경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ark Eun's poems can not be said to be conforming to the formal pattern in terms of his poetic tendency but lively and liberal. He succeeded by learning the poetic tendency of Whang Chung-Kyun(黃庭堅) and Chin Sa-Do(陳師道) of China and was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Haedong-Kangseo Poetic School(海東江西詩派). The poems of the school are remarkable in its queer technique of quoting the original text, the refined writing and the frequent command of Yo Style(拗體). This study analyzes the Yo Style(拗體) with a view to understand his rhetorical divices and is the result of studying the whole works found in his series of works, Eupchihunyoogo(挹翠軒遺稿). The Yo Style(拗體) is used in various fashions in his peoms. Not only the Yo Style like the Gocho(古調), Yocho(拗調), Yoodai(拗對) and Yoochum(拗黏) is used but also Oh Style(吳體) is can be found. The Gopyung(孤平) and sampyungsung(三平聲) which poets uusally avoid are found in many places. The criticism that his poetic patterns are not formal is actually confirmed. The above mentioned chacteristics of his poems will help understand the poetic trend of the Haidong-Kangseo Poetic School(海東江西詩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