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두보(杜甫, 712~770)의 이상 한파와 이상 고온 현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동방인문(東方人文)의 수립 가능한 경로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지금까지 시학 전통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창작주체를 핵심으로 삼는 논술에 치중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시인들은 기후에 따른 자연 변화를 묘사함으로써 생명에 대한 의미와 가치, 인생에 대한 고독과 슬픔을 표출하였다. 두보가 끊임없이 주목받는 까닭은, ‘시사(詩史)’와 ‘시성(詩聖)’이라 일컬을 만한 인물이기도 하지만 특히 그의 제한되지 않은 창작 시야 때문이기도 하다. 『신당서(新唐書)‧오행지(五行志)』의 기록에 따르면 초당(初唐)‧성당(盛唐) 시기에 이미 이상 한파와 이상 고온 현상이 있었다. 당시 시인들은 추위와 더위에 대한 인식과 기록이 부족하여 이상 기후 현상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 그러나 두보는 자연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현상을 정확히 파악하여 자신의 작품에 반영하였다. 두보는 추위와 더위에 대한 인간의 감정을 토론의 장에 올려놓고서 태평성세에도 경고하는 언사를 숨기지 않았다. 또한 서정(抒情) 전통의 비흥(比興)‧기우(寄寓)와 심완(深婉)‧우사(憂思), 심미(審美)‧관조(觀照) 등의 격식을 돌파하여 ‘詩言志’, ‘詩緣情’의 시학전통을 뛰어넘었다. 두보의 추위와 더위에 대한 인식과 기록을 통해, 인간은 자연이 순행함을 소중히 여기고 자원을 아끼고 절제하며 자신의 본성을 이루고 삶을 즐길 수 있다. 동방 인문의 동정(同情)․지족(知足)․분향(分享)‧애물(愛物) 등의 핵심 가치는 생생불식(生生不息)의 영원한 생존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Dufu(杜甫, 712~770)'s awareness of extraordinary cold wave and abnormal temperature, and course of Dongbanginmun(東方人文). Researchers have so far focused on the subject of the creation. Poets generally described change of nature according to climate and expressed not only meaning and value of life but also sorrow and loneliness of life. Dufu has received attention because of unlimited view. According to Sindangseo Ohaengji(『新唐書 五行志』), it was extraordinary cold wave and abnormal temperature in the Tang dynasty. At that time, poets could not reflect abnormal climate due to lack of documents about cold and heat. But Dufu understood the phenomena of nature and reflected in his work. He indicated human emotion about cold and heat and did not hide warning of natural disaster even though it was a prosperous age. Also he broke formality such as an aesthetic contemplation, and surpassed traditional poetics. By researching into Dufu's awareness of cold and heat, human being cherishes the sequence of the nature and enjoys our life following original nature. Thus, It is meaningful that this paper reveals Dongbanginmun which makes circumstances of eternal survi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