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虞初新志』는 조선후기 열독되었던 대표적인 저서이다. 하지만 그 열독의 이유와 영향력 등은 아직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본고는 『우초신지』 열독을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조선후기 젊은 문인 여섯 명을 대상으로 삼아, 그들의 작품과 『우초신지』의 撰集 태도, 주제, 구성, 문체(style), 모티브(motive), 話素, 소재 등을 비교함으로써 그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우초신지』의 찬집 태도는 近․眞․活 세 측면이 특징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중 ‘근’은 그들이 살던 당대에 초점을 두는 태도이며, 자신들이 기록하지 않으면 스러질 인물들을 후대에 남기려는 자세이다. 다음으로 ‘진’은 사회의 세태와 인간의 욕망 모두를 긍정하면서 眞情을 사실적으로 기록하려는 태도이다. 마지막으로 ‘활’은 ‘진’의 결과로 드러나는 생동감이며, ‘진’을 목적으로 하는 글쓰기의 방법이다. 이와 같은 찬집 태도가 조선후기 젊은 문인의 서사에도 고루 산견된다는 점을 확인한 이후, 그들의 작품을 筆記 敍事, 人物 敍事, 回想 敍事 등으로 나누어 고찰한 결과 아래와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우선, 필기 서사의 경우, 李鈺의 『白雲筆』에서는 『우초신지』와 몇몇 유사한 이야기가 발견되지만 체제나 구성이 달랐다. 柳得恭의 『古芸堂筆記』는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 유사했지만, 과연 이 유사성이 『우초신지』의 영향인가 하는 점은 확언할 수 없었다. 이에 반해 姜彛天의 「梨花館叢話」는 찬집 태도, 주제 의식, 모티브, 화소, 소재 등에서 좀 더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인물 서사는 金祖淳과 金鑢가 『우초신지』를 본 떠 지었다는 『虞初續志』가 있는 만큼, 앞서 필기 서사보다 좀 더 뚜렷한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다만 두 서사 사이에는 일정한 차이도 보이는데, 이것은 시간, 공간, 인물, 사회적 배경 등의 차이로 인해 『우초신지』를 따르면서도 당시 조선의 현장에 맞게 김조순과 김려가 이야기를 적절히 수용하여 변용시킨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회상 서사 중 自己 敍事에서 『우초신지』의 영향이 감지되었지만, 이것은 조선중기를 넘어서면서부터 변화하기 시작한 조선 내부의 자기 서사에 더욱 크게 영향을 받은 것이므로, 『우초신지』의 영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반면 沈魯崇의 回想記에서는 『우초신지』의 영향이 뚜렷하게 보이지만, 그 범위가 심노숭에게만 편중되어 있다는 점으로 볼 때, 그 파급력은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이로써 볼 때, 조선후기 서사의 일정한 변화가 꼭 『우초신지』 때문이라고 하기도 힘들고, 그렇다고 『우초신지』의 영향을 배제하기도 어렵다. 그렇다면 명․청 시대의 저술과 문화를 받아들여 변용하기에 적합한 토대가 조선후기에 이미 갖추어져 있었고, 그 속으로 『우초신지』를 비롯한 明末淸初의 저술 경향과 문화 등이 스며들어 이야기의 판도에 영향을 끼쳤다고 인식하는 태도가 합리적일 것이라 생각한다.


Yu chu xin zhi was read devoutly in late Joseon Dynasty. But we didn’t study on the reason of devout reading, so this report researched the reason. And this report focused on a attitude of writing-compilation, subject, formation, style, motive, story-element, and object in Yuchuxinzhi. With the result, we know that contemporariness(近), true feeling(眞), and a vividness effect(活) are very important in attitude of writing- compilation of Yuchuxinzhi. First, contemporariness(近) is the attitude that concentrates on the contemporary environment. Second, true feeling(眞) is th attitude that includes social conditions, desires, and everyday lives. Third, vividness effect(活) is the attitude that seeks the vividness of true feeling and vivid writings. And then, I divided the narrative of late Joseon Dynasty into three parts, namely noting material narrative, characteristic narrative, and reflectional narrative. First, I studied on noting material narrative.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Yuchuxinzhi is similar to Lee Ok(李鈺)’s Baek woonpil(白雲筆) and Ryu Deuk-gong(柳得恭)’s Gowoondangpilgi(古芸堂筆記), and is also not similar to those books. On the contrary, Yu chu xin zhi is very similar to Kang Yi-cheon(姜彛天)’s Yihwagwanchonghwa(梨花館叢話) from every point of view. Second, I studied on characteristic narrative.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Yuchuxinzhi had an strong effect on Kim Cho- soon(金祖淳) and Kim Ryeo(金鑢)’s Yuchuxinzhi. But they changed many features. Third, I studied on reflectional narrative.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Yuchuxinzhi also had an effect on Sim ro-soong(沈魯崇)’s hoesanggi(回想記). But the influence is limited to Sim, ro-soong. To conclude, the young writers in late Joseon Dynasty made new writing trend from Yuchuxinzhi and Ming․Ching’s culture on the late Joseon’s cultural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