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역사를 잘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본 연구는 이 질문으로부터 시작한다. 현행의 학교 교육에서는 역사를 잘하는지 못하는지의 여부를 역사과 학업성취도를 통해서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러나 현행의 역사과 학업성취도가 역사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 아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연대기 파악력, 역사적 판단력과 관련된 문항을 선택하여 168명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역사과 학업성취도와 역사적 사고력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대기 파악력은 학업성취도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는 연대기 파악력이 시간에 대한 기초적 지식이 강하게 필요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둘째, 역사적 판단력은 학업성취도와 서로 비례하지 않았다. 즉, 학업성취도는 역사적 판단력을 제대로 드러내고 있지 못한 것이다. 셋째, 이러한 두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연대기 파악력은 역사적 판단력의 향상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라고 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두 하위범주는 상호간에 영향을 주기는 하지만 개별적이며, 그렇기에 개별적으로 발달될 수 있는 것이다. 연대기 파악력과 역사적 판단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경우 역사적 사고력이 뛰어난 학생은 성취도가 가장 뛰어난 1등급 학생이 아니라 3등급 학생이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행의 학업성취도가 역사 교육의 목표에 충실한 평가가 되고 있지 못함을 증명한다. 따라서 앞으로 평가 체제에 다음과 같은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첫째, 현재의 상대평가 체제를 목표지향적인 절대평가 체제로 전환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둘째, 이를 위해서 역사교육의 절대평가기준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그를 위한 예시로서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평가기준을 참고할 만하다. 셋째, 선발도구로서만 기능하고 있는 평가의 본래 기능을 살릴 수 있도록 사회적 환경과 체제의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성취도 평가에 있어 다양한 사고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What is good at history? This study begins by this question. History educational achievements of current school education show that the one do well or badly in history. Bu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current history educational achievements don't show the historical ability. The author selected the questions related the chronology comprehension ability and historical judgement ability. And make a questionnaires, which were offered to 168 highschool students in four classes. Then this study compared history educational achievements with difference of historical thin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chronology comprehension ability and history educational achievements. Because chronology comprehension ability has strongly need of a basic knowledge for time. Second, historical judgement ability isn't out of proportion with history educational achievements. History educational achievements don't show historical judgement ability properly. Third, chronology comprehension ability wasn't absolutely necessary part for improvement of historical judgement ability. Two subcategories have an effect on each other, but separately. So two subcategories can be improved separately. After synthetic considering chronology comprehension ability and historical judgement ability, the students do well in historical thinking are 3 grade , not 1 grade. This is certify that current history educational achievements aren't true to the objective of history teaching. Therefore history assessment systems need a change. First, current relative assessment must have need to change for absolute assessment. Second, we have need of absolute assessment standard in history teaching like Korean History Competence Test. Third, we must change social environment and system for original function of assessment. Forth, we have need of assessment methods that can measure various thi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