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동아시아사의 담론의 시각에서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현행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교과서(이하 초등역사교과서로 약칭함)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런데분석 대상인 초등 역사교과서가 ‘민족사’와‘국가사’의 시각에서 서술되고 있다역사 기술체계로서‘동아시아사’및‘지구사’와‘민족사’와‘일국사’는 그 출발점부터가다르다. 따라서‘실용적인’분석을 위해서는 양 역사인식 사이에 최대한의 접점을 마련할필요가 있다. 그 접점으로‘민족사’와‘일국사’체계에서도 반드시 기술할 수 밖에 없는 한국과 주변국가와의 관계사, 구체적으로 외교관계, 문화교류, 주민의 이동, 국가간 전쟁 등에대한 기술 내용을 분석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초등 역사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지나치게 민족사의 관점에서 서술되어 있어, 이를 공부하는 초등학생들의 역사 인식이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특히 많은 서술 비중을 갖고 있는 전쟁에 대한 서술에서도 전쟁의 국제적 배경 등이 생략되고 주로‘침략과 저항’이라는 대립축만이 강조되어 결과적으로 전쟁을 바라보는 폭넓은 시각을 제공하기 보다는 승리한 전투나 외세에 대한 저항 자체만을 강조하는‘도덕적 서술’로 귀결되고 있다. 문화의 교류에 대한 서술도 전체적으로 국가간의 교류라는 측면만이간략이 언급되어 있는데, 동아시아 문화권 전체 속에서 일어나는 문화 변화의 양상이 드러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문화교류나 교역의 양상이 전시기에 걸쳐 균질적인 서술을 놓치고있는 면도 지적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부 문화재에 대한 서술에서도 민족사적 시각에서의 해석과 서술이 지나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현존하는 최고’라는 가치를 갖는 특정 유물에 대한 서술이 과도함으로써그 유물로 대표되는 문화일반의 현상에 대한 이해를 왜곡할 가능성도 나타난다. 이는 동아시아 문화권 내에서의 한국 문화의 위상을 설명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이러한 검토의 결과를 토대로 ‘동아시아사’라는 역사서술을 위한 체계적인 구성틀을 갖추지 않는다고 하더라고, 자국사 중심의 역사인식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결과 一國史의 인식에서는 쉽게 드러나지 않고 오히려 동아시아사의 국제적 시각에서 그성격이 보다 뚜렷해지는 주제들, 즉 국제관계사나 교류사, 문화사의 내용에 동아시아의 차원에서 서술한다면, 자국사 중심 인식에서 벗어나서, 전근대 시대에 한국과 주변국가 사이 에 전개된 역사와 상대국의 역사를 어느 정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I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textbook in 5th grade, which was published in 2007 by the revised curriculum policy. Especially,with the view of East Asian Historical perspective, I tried to analyze the patten of historical writings on the premodern history of korea. As well known, Social studies textbook in 5th grade has consisted nation history. It has been described primarily in terms of national history. the writing patten of regional history was different from that of national history. Thus, as much as possible, It is necessary for the perception of history to arrange the difference. In its contacts,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have affiliated. Those cases were included diplomatic relations, cultural exchanges, the movement of residents, and international war etc.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se points and analyzed case by ca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extbooks were inclined to described in terms of national history. Therefore, children in elementary history classroom were more likely to be limited the historical conciousness. Based on these viewes, I sought to find some alternatives to overcome nation-centerd history without the historiography of East Asian history as possible. It was to make a transnational history beyond the traditional writing of East Asian history. Such cases were related with international relations, history of intercourse and cultural history. these areas became more clear in the historical character when we were looking at the view of international perspective in east asian history rather than the national history. I was convienced that It could be useful for the construction of transnational history between korea and the rest of 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