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할 부분을 내용 영역에서 성취기준형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실시되고 있는 2007개정과 2015년에 적용될 2009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역사영역 성취기준의 구성 영역을 보면 기능 영역이 부족하고, 가치/태도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교육과정의 구성 흐름은 목표-내용-방법-평가의 흐름 속에서 이러한 단계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사회과 교육과정 목표와 평가에서는 지식/이해, 기능, 가치/태도 영역에 대한 지도와 평가를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내용에서는 지식/이해 영역에 편중된 성취기준만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리의 교육과정과 다른 나라 교육과정과 비교 검토하여 기능과 가치/태도 영역에 대한 새로운 성취기준을 구성해 보았다.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 presente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contents of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tudy. However, skill achievement standards are not enough in the contents of curriculum in 2007 revision conducting today and 2009 revision to be adapted in 2015, moreover, values and attitudes achievement standards are nonexistent. Curriculum must be organically and precisely related each other to object, contents, method, evaluation in the flow of themselves. Although knowledge, comprehension, skill, values and attitudes standards are emphasized in the field of object, evaluation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actually knowledge achievement standards are attached too much. Accordingly, this paper presents new skill, values and attitudes achievement standards, compar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Korea with a foreign social studies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