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대한제국기부터 1950년말까지의 역사교과서 속에 나타난 발해 관련 서술을 검토하였다. 근대 역사 교과서가 직면한 과제는 크게 두 가지였다. 외형적으로는 전근대적 역사서술체계를 해체하는 것이었으며 내용적으로는 민족의 연원을 확대 재구성함으로써 자국사의 유구성과 우월성(제국성)을 확립하는 것이었다. 이 관점들은 모두 발해사 서술을 변화시키는 동력이 되었다. 구체적인 서술의 양상은 당대의 정치사회적 요구와 관련을 맺으면서 변화해나가고 있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시기별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제국기까지만 하더라도 발해는 신라정통성이라는 맥락 구조에 갇혀 ‘인근국 역사’라는 위상을 벗어나지 못했지만 통감부 시기에 접어들면서 신라정통의 인식에 일정한 변화가 시도되고 고구려 계승이라는 매개를 통해 발해는 한국사로의 한 귀퉁이로 진입하기 시작했다. 국권 침탈의 위기의식이 자국사의 유구성과 제국성으로 이어진 것이다. 둘째 일제강점기를 맞으면서 일제가 허가한 교과서에서 발해는 그다지 주목 받지 못하다가 일제의 만주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일본에 조공한 만주의 한 왕조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반면 다행스럽게도 장도빈이 저술한 조선력사대전에서 한국사로 정확히 자리매김하고 그 의의를 부각하였다.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상황에서 북방에 펼쳐졌던 고대의 제국적 경험이 저항 민족주의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였다. 셋째 해방 후 발해는 남북국 시대라는 체계 위에 안착되고 전후 사례가 없을 정도로 발해와 신라간의 긴밀한 교류가 강조되었고 교육과정에 이를 명시하였지만, 교과서 서술은 의외로 소극적이었다. 해방과 함께 맞이한 분단의 현실이 양국의 관계와 공존의 역사를 남북통일의 역사 컨텐츠로 주목하였지만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이러한 인식이 교과서 서술에 안착되지 못했던 것이다. 넷째, 이러한 인식의 제한은 한국전쟁 이후 남북 분단이 고착화되면서 더욱 빠르게 전환되었다. 급기야 신라중심적 역사관이 남북국시대 인식을 앞서고 발해의 결말은 열등한 타자 북한을바라보는 시각과 오버랩되었다. 발해는 북방고토에 대한 아쉬움으로 마감한 채 다시금 한국사의변두리에 두어졌다. 현재까지도 교과서 속 발해는 체제면에서나 내용면에서나 여전히 분단고착기의 답보적 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동북공정에 의한 발해사 중국 편입이 노골화되고 공존과 평화를 향한 다양한통일 논의가 모색되고 있는 대내외 현실은 발해사에 대한 한국사 내적 지위와 내용 구성에 대한새로운 검토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 글이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한 일정한 해답을 찾는 실 마리를 제공해 주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reviewed the descriptions of Parhae in the history textbooks from the Korean Empire period to the late 1950s. The history textbooks of the modern times faced two major issues. Externally, it was the decomposition of the premodern style of historical descriptions and internally, it was to expand and re-construct the national chronology to secure the length and superiority(imperiality) of national history. All of these perspectives motivated the change of historical description about Parhae. In a larger view, the principle was the decomposition of Silla’s legitimacy and the contextualization of Korean history in the northern native land. The specific descriptions were related to the sociopolitical demands of the time. First, until the Korean Empire period, Parhae was confined in the contextual structure of Silla’s legitimacy and considered ‘the history of neighboring state’, but entering the Residency-General period, certain changes were made to the awareness of Silla’s legitimacy and Parhae was placed on the outskirt of Korean history for the succession of Koguryo. The awareness of crisis of loss of sovereignty led to the length and imperialism of national history Second, ente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extbooks approved by Japan discussed Parhae as an empire in Manchuria that tribute to Japan. Fortunately, however, it clearly settled as a part of the Korean history with significance in Jang, Do Bin’s Joseon-ryeoksa-daejeon. In the situ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ancient imperial experience in the north took an important part of the nationalism of resistance. Third, after the liberation of Joseon, Parhae has settled on the system of the North and South States Period and the close interaction between Parhae and Silla was unprecedently emphasized. This was sta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but the descriptions in the textbooks were rather passive. The reality of division soon after the liberation was stressed as a historical content of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but the same awareness was not applied to the descriptions in the textbooks. Fourth, such restricted awareness was converted even faster as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settled after the Korean War. The historical view focused on Silla was even surpassed the awareness of the North and South States Period and the fall of Parhae was overlapped with the perspective of North Korea as an inferior other. Parhae was placed back on the outskirt of Korean history with the regretful view of the Northern Native Land. Even today, Parhae in the textbooks is still conveying the conventional view from the period of division, in terms of both the systems and the contents. Now, China has argued Parhae is the part of their history with Northeast Project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Dongbei-Gongcheng), and various discussions of reunification are sought for coexistence and peace. Under these circumstances, new discussions and changes are required for the history of Parhae in the history of Korea and its conten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provides a clue for the search of a certain solution to these social dem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