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를 참조하여 유아가 모래상자에 형상화한 아버지와 아들 이야기의 상징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모래놀이치료과정에 의뢰된 유치원 6세 남아가 연구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유아는 모래놀이치료 이전에 자신의 생활에서 이미 경험한 미디어인 그림책 ‘으뜸헤엄이’, 영화 ‘인디아나 존스 4’, ‘삼국지’를 참조하여 치료실에서 연구자의 개입 없이 자발적으로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형상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야기해석학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유아의 형상화 과정에 대해 분석심리학적 관점을 규범적 의미로 하여 재형상화한 것이다. 유아가 형상화한 아버지와 아들 관계의 상징적 의미는 ‘으뜸 헤엄이: 아버지의 부재, 어머니의 세계에서 자라는 아들-자기’, ‘인디아나 존스 박사와 아들: 아버지와의 갈등 속에서 동일시되는 아들-자아’, 그리고 ‘관우왕과 왕자: 아버지의 힘과 지혜를 물려받고 더 강해지는 아들-자아’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기 남아에게 아버지가 상징하는 바의 의미와 유아의 정신세계에 끼치는 미디어의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pretations of symbolic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and sons in three popular stories from a narrative hermeneutic perspective. To accomplish this, the researchers take an analytic-psychological approach while observing a six year-old boy recreate the nature of each relationship during sandplay theraphy. The stories used for analyzing changes of the participant's interpretations of their respective father-son relationships included Swimmy (a boy raised by his mother), Indiana Johns (a son with his father's conflicts), and King Kwan-Woo (a prince who inherits his father's power and wisdom).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research limit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