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립국어원 국어문화학교는 1992년부터 일반 국민의 품위 있는 국어 생활 유지와 올바른 어문 규범 보급을 위해 교육 과정을 운영해 왔다. 국어문화학교는 공무원 대상의 국어전문교육과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내용의 국어 교육을 국민들에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국어문화학교 교육 내용은 대부분 어문 규범 중심의 강의로 구성되었다. 최근에는 국어 사용 능력으로 확대된 독서 특별 과정 등을 개설하며, 다양한 분야의 성인 대상 국어 재교육 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그러나 여전히 국어문화학교의 강좌 운영은 어문 규범이나 문법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쓰기 영역이나 말하기 영역에서 개설되는 교육 강좌는 실습보다는 이론 위주의 표면적인 교육이 개설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 국립국어원의 국어문화학교 성인 대상 국어 재교육 현황을 살펴, 국민들이 원하는 국어 교육은 무엇이며, 의사소통 과정에서 어떤 국어 능력을 필요로 하는지 간단하게 살피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성인 대상 국어 재교육 방안의 수립 가능성과 그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어문화학교에서 실시하는 설문조사에서 국어문화학교 수강생들과 강사들은 모두 한국어 어문 규범 교육도 중요하지만, 글쓰기와 말하기 능력을 신장하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더 많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국어문화학교에서 운영하는 글쓰기 지도 강좌와 생활 글쓰기 강좌는 그 필요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효용성 면에서는 교육생들에게 충분한 재교육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순수한 국어 지식 분야보다는 국어 응용 분야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았다. 이를 위해서 국립국어원과 학계는 국민의 직업군별, 생활 영역별 또는 의사소통 수행 상황을 고려하여 중점적으로 필요한 국어 사용 능력이 반영된 국어 재교육의 범위를 결정하는 연구를 지속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일반 국민 대상 국어 재교육 과정이 구성되어야 하며, 국가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국어 재교육 서비스를 확대하여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대국민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국어 정책과 교육 기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has offered educational programs since 1992 to ensure the proper use of the language by the general public and to establish a higher language standard. It provides professional Korean language training for public officials as well as the various classes, essentially for all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While existing lectures are mostly focused on linguistic rules, efforts have been underway to expand the curriculum to include a special reading course and Korean language retraining for adults. However,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is still centered on providing linguistic or grammatical knowledge, and its writing/conversation classes are more based on theory than practice.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retraining for adults at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this paper explores the citizens’ needs with regar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linguistic skills required for proper communication. To satisfy the needs of the general public, some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improve Korean language retraining for adults.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both students and instructors showed greater interest in writing and speaking even though they agreed on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rules. Despite this high level of demand, related classes at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do not offer adequate retraining in terms of practicality. Furthermore, there is a higher demand for Korean language applications than the knowledge of the language itself. To resolve the above stated issues,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academia must continue to carry out research to determine the proper scope of Korean language retraining with due consideration of various communication situations according to the job and lifestyle demands of the general public. The Korean language retraining program has to be reorganized based on the new findings, and first, language retraining services should be expanded on a national level. This calls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language policies and the ope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