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작성한 동료 피드백을 유형화하여 그 양상을 살피고, 유형별 피드백의 타당도를 분석함으로써 동료 피드백 활동의 실제적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료의 쓰기 수준에 따라 피드백의 양상 및 타당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학 신입생 40명이 작성한 836개의 피드백을 대상 영역‧내용 유형별로 분류하고, 전문가 3인이 각 피드백의 타당도를 5점 척도를 사용하여 평정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생 동료들은 주로 ‘표현’과 ‘내용’ 영역에 대해 ‘오류지적형’, ‘논평형’ 피드백을 작성했고, 피드백의 전체 타당도는 3.62(72.4%)로 대체로 타당했다. 둘째, 동료의 쓰기 수준에 따라 피드백 양상 및 타당도가 크게 달라졌다. 쓰기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은 상위 집단은 하위 집단에 비해 양적으로 2배 이상의 피드백을 작성했고, 피드백의 타당도도 상대적으로 높았다(4.02: 80.4%). 반면, 하위 집단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피드백을 작성했고, 피드백의 타당도도 낮았다(3.32: 72.4%). 상위 집단은 ‘표현’과 ‘구성’ 영역에서 보다 풍요롭고 타당한 ‘오류지적형’, ‘논평형’, ‘대안 제시형’ 피드백을 작성했다. 반면, 하위 집단은 ‘주제’와 ‘내용’ 영역에 대해 타당도가 낮은 ‘단순소감형’ 및 ‘논평형’ 피드백을 작성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 피드백 활동이 학생들의 글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말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상위 집단 학생의 피드백은 풍요롭고 타당도도 높으나 하위 집단 학생의 피드백은 상대적으로 빈곤하고 타당도도 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전체 동료 피드백보다는 동료 튜터링을 권유한다. 동료 튜터링은 튜터와 튜티 모두의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actual effect of peer feedback activity by observing the aspects of peer feedback in college students’ writing through classification and analyzing validity of feedback by types. Especially, I tri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aspects and validity of feedback according to level of peer’s writing providing feedback. For this, 836 feedbacks written by 40 college freshmen were classified into types of area and content of target, and validity of each feedback was given grades based on 5 points by 3 specialists.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college peers mostly wrote feedbacks of type of ‘pointing out the mistake’ and ‘comment’ on type of ‘expression’ and ‘content’, and the whole validity of feedback was valid scoring 3.62. Second, aspects and validity of feedback varied greatly depending on level of writing of peer. A peer group on a high writing level wrote feedback more than twice in volume compared to a group on a low writing level, and validity of feedback (4.02) was very high. On the contrary, a group on a low writing level wrot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feedbacks, and validity of feedback (3.32) was low. A group on a high writing level wrote feedback of type of ‘pointing out the mistake’, ‘comment’, ‘presentation of alternative’ more rich and valid in areas of ‘expression’ and ‘composition’. On the contrary, a group on a low writing level showed tendency of writing feedback of type of ‘simple thoughts’ and ‘comment’ lower valid in areas of ‘subject’ and ‘cont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lution which peer on a low writing level be able to provide more rich and valid feedback is to be seek for peer feedback activity to be an effective tool in improving the writing of feedback user. Solutions such as conducting peer tutoring could be th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