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한 국어과 교육과정을 구상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핵심 역량의 의미와 범주를 탐색하였고, 핵심 역량이 직업 생활에서 필요한 능력이라는 관점에서 점차 인간 삶의 전반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총체적이고 실천적인 능력이라는 관점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어과 핵심 역량의 범주를 새롭게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핵심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방향 탐색하기 위해서 먼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쟁점을 해소할 것과 범교과 핵심 역량과 국어과 핵심 역량의 관계를 정립할 것,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재구조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핵심 역량 기반 국어과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할 때에는 현행 교과 기반 체제를 존중하면서, 교육과정의 각 항목을 기술할 때 핵심 역량을 명시적으로 드러내거나 핵심 역량 요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문서의 각 항목들을 재구조화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핵심 역량 기반의 국어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도입하기 위해서는 국어과 내부의 진정성 있는 논의와 건전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To achieve this purpose, I explored the meaning and category of key competencies and verified the fact that view of key competencies that are only competencies for a career is being replaced with that of key competencies that are overall and practical ability to solve general problems of living. Also, the category of key competencies should be explored afresh. Several new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are suggested.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issues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should be resolved. Second, relations between key competencies across curriculum an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sophisticatedly readjusted. Third, the ways to draw up the system for the curriculum documents are proposed. Especially, when I drew up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I explored the ways that key competencies are showed explicitly when each item in the curriculum is described or each item in the curriculum documents is restructured in and around the factors of key competencies. Also, I highlighted that authentic discussion and appropriate agreement are prerequisite for developing and performing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