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시 작품을 읽는 일의 가장 중요한 문제로 손꼽힐 수 있는 ‘공감’의 문제를 불교심리학(특별히 불교유식론(唯識論))에 근거하여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공감의 문제를 살펴보는 일은 넓은 의미로는 문학의 수용이론 및 독자중심비평의 한 측면을 밝혀본다는 뜻을 가지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독자들이 시 작품을 읽고 ‘좋다’ ‘인상적이다’ ‘마음에 든다’ ‘감동적이다’ 등과 같이 막연하게 표현해 오던 독자반응의 실제를 밀도 있게 조명해보는 일이 된다. 이 글에서는 독자반응의 일환인 공감의 근거가 기본적으로 두 가지 측면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그 하나는 불교유식론에서 말하는 이른바 제7識(마나스識)에서 비롯되는 자아중심적 유아(有我)의 출현에 근거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아중심적 유아의 너머에 존재하며 작용하는 자아초월적 무아(無我)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전자가 분별과 시비로 이루어진 에고의 세계라면, 후자는 일심(一心)과 공심(空心)이 구현된 초아(超我)의 세계이다. 자아중심적 유아의 공감으로는 이해, 생각이입(移入)과 감정이입, 애호(愛好), 감격과 통쾌가 대표적이다. 그리고 자아초월적 무아의 공감으로는 납득, 감탄, 전율, 감동이 대표적이다. 전자의 공감이 자기보존, 자기확대, 자기탐닉을 추구한다면, 후자의 공감은 자기축소, 자기방생, 자기해탈의 세계를 추구한다. 그리고 전자의 공감이 일시적이고, 가변적이며, 개인적이라면, 후자의 공감은 영속적이며, 지속적이고, 보편적이다. 한국의 근현대시는 자아초월적 무아의 공감을 주는 경우가 부족하고, 그 가운데서도 공감의 최고 단계인 감동을 주는 시가 부족하다. 그 까닭은 시인과 독자 양쪽에 모두 있겠으나 무엇보다 이들이 자아초월적 무아의 세계를 제대로 깨우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모더니즘을 지나,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시작형태가 전개되는 이 시점에서 자아초월적 무아의 세계인 일심과 공심의 세계를 회복하는 일은 우리 시의 질적 전환과 발전을 가져오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tter of “sympathy,”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reading poetry, based on Buddhist psychology. To examine the matter of sympathy means to explore one aspect of reception theory and reader-centered criticism in literature; more specifically, it means to examine in depth the reality of readers' rather vague response that a poem is “good”, “impressive”, “appealing”, or “touching”. In this paper, the source of sympathy is understood as coming from basically two concepts of Buddhist psychology. The first one is the self-centered ego that emerges from the seventh consciousness (manas consciousness) of the doctrine of mere-consciousness. The other is the transpersonal that transcends and exists beyond the self-centered ego. While the former forms a world of ego that differentiates, discerns, and judges, the latter forms a world of one mind and holistic mind that exists beyond ego. The forms of sympathy generated by the self-centered ego include understanding, empathy, liking, being overwhelmed, and delight. The typical forms of sympathy that comes from the transpersonal beyond ego are acceptance, admiration, thrill, and being touched. Whereas the former seeks self-preservation, self-expansion and self-indulgence, the latter pursues self-reduction, self-releasement and deliverance. The former types of sympathy are temporary, unstable, and personal, while the latter ones are eternal, consistent, and universal. Modern Korean poetry often fails to draw the sympathy of transpersonal, especially the state of being touched, which is its highest stage. Both poets and readers are accountable for such failure, but most importantly, it is because they have not yet fully realized, or understood the world of transpersonal beyond ego. At this time of development of postmodernism and new forms of poetry writing, understanding and restoring the transpersonal world of one mind and holistic mind will help bring a significant change and improvement to modern Korean po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