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이육사의 시를 ‘예외상태’에 처한 호모 사케르, 곧 ‘벌거벗은 생명’의 개념과 의미를 빌려 해석하고자 한다. ‘예외상태’는 파시즘과 나찌즘이 구체적 실례로 거론되는 것에서 보듯이 문민적 영역 속에 군사적 전시 권한이 확장되는 사태, 나아가 헌법의 효력이 정지되어 시민들을 권력의 자의적 처분에 따라 말살시킬 수 있는 폭력적 상황을 뜻한다. ‘벌거벗은 생명’은 그런 상황에서 ‘살해는 할 수 있으나 희생물로는 가치화될 수 없는 생명’을 뜻한다. 일제 천황이 지배하는 식민지 조선은 ‘예외상태’가 상시화된 공간이었으며, 특히 일제에 대한 비판과 저항에 종사하는 식민지인은 ‘호모 사케르’로 간주되어 마땅한 위험 분자들이었다. 본고는 이를 중심으로, 첫째, ‘한 개의 별’, 곧 새로운 지구의 건설을 염원하는 방랑자의 ‘노정’, 둘째, 실향과 탈향의 ‘고향’ 담론을 통한 살해의 회피, 그리고 동아시아의 현실 인식과 문학에의 의지를 새롭게 배우는 또 다른 고향으로서 중국, 문학운동의 모범으로서 루쉰의 영향과 수렴의 의미, 셋째, 이육사의 타자지향성을 대표하는 ‘손님’과 ‘초인’의 발견과 호명, 그를 통한 ‘벌거벗은 생명’의 본원적 고향으로의 귀환과 도래의 의미, 궁극적인 사태로서 ‘살해’의 회피와 미학적 구원의 가능성의 가치, 넷째, 1946년 육당의 사후 발간된 유고시집 『육사시집』의 진정한 가치, 즉 ‘저항’을 넘어서는 ‘벌거벗은 생명’의 기록과 기억의 위대성과 같은 주제들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e Yuksa’s poems in terms of Homo Sacer positioned in ‘State of Exception’, that is, the concept and meaning of ‘nuda vita’. As fascism and Nazism are discussed with concrete cases, ‘exception status’ implies the situation in which the military authority of war is extended within the civilian sector and even the status of violence in which the effect of the Constitution stops and citizens can be annihilated according to the arbitrary disposal of authority. ‘Nuda vita’ means ‘life that can be killed but never becomes devalued as a sacrifice’ in such situation. In Chosun, the colony ruled by the Japanese Emperor, was the space where ‘exception status’ was ordinarily found. Especially, the colonized people engaged in criticism or resistance to Japan were those regarded dangerous as ‘Homo Sacer’. Mainly about that, this study has examined, first, ‘The One Star’, the ‘journey’ of a wanderer wishing to build new Earth, second, the avoidance of killing based on the discourse of the ‘hometown’ related to displacement or deprivation, China as another hometown to recognize the reality of East Asia and learn will for literature newly, and also the influence of Lu, Hsun as a model of the literary movement and the meaning of convergence, third, the discovery and calling of ‘The Guest’ and ‘The Superhuman’ representing Lee Yuksa’s orientation to others, the meaning of return and coming to the original hometown of ‘nuda vita’ through that, and also the avoidance of ‘killing’ as the event of ultimacy and the value of possibility of aesthetic salvation, and fourth, the authentic value of Yuk–Sa's poetry, the collection of his poems published after Yukdang’s death in 1946, that is, the records of ‘nuda vita’ beyond ‘resistance’ and themes such as the greatness of mem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