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나 사는 곳’의 일제 말기뿐 아니라 해방 후 오장환의 시편에서도 ‘고향’ 모티프가 주된 동력으로 작용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오장환의 후기시는 해방 공간의 새로운 현실에 부응하는 고향 찾기와 모색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현실에의 기대와 환멸, 실천과 좌절, 내적 성찰로 이어진 그의 시의 과정은 ‘새 고향’과 ‘옛 고향’의 상보적 관계를 통해 구성된 특징이 있다. 시 「병든 서울」을 통해 서울을 이념의 ‘새 고향’으로 설정하게 된 오장환은 1945년 말부터 “똥수깐”으로 변한 현실과 마주하면서 회의와 환멸에 빠지는 모습을 보인다. 이에 따라 새 고향에 계속 남아야 할지, 어머니가 있는 ‘옛 고향’으로 돌아가야 할지의 고민은 1946년 초의 그에게 중요한 문제가 된다. 새 고향의 방법적 모색을 위해 일단 서울에 남게 된 그는 문학가동맹과 함께 하면서 문예대중화를 실천하기도 하지만, 미소공위 결렬에 따른 현실의 벽 앞에서 다시 옛 고향을 찾는 모습을 보인다. 어머니의 “크나 큰 사랑”이 있는 옛 고향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한 그는 이후 농민시론을 모색하거나 농촌 현실의 구조적 문제를 시화하기도 하면서 옛 고향의 생명력을 통해 “다시한번 용기와 히망”을 얻기에 이른다. 그 용기와 희망의 에너지로 ‘새 고향’ 수립을 위해 다시 한 번 대사회적 실천을 전개한 것이 1947년 오장환의 모습이었다 할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그의 시는 집단적 목적의식과 투쟁의식에 일체화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과거와 달리 현실에 대한 주체적 모색을 상실하고 만다. 이후 총검거로 상황이 열악해지자 그는 소월의 말년을 거울삼아 또 한 번 옛 고향으로의 귀향 가능성을 타진한다. 새 고향의 추구가 어려워질 때마다 옛 고향에서 활로를 찾으려는 태도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고향은 일제 말뿐 아니라 해방 후의 오장환 시까지를 움직여간 중요한 시적 원천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ove that the ‘hometown’ worked as a major poetic dynamic not only in ‘Where I Live’ during the lat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but also in Oh Jang‐hwan’s poems after the Liberation. Oh Jang‐hwan’s later poems show the process of his search for and pursuit of hometown in response to the new realit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His later poems consist of expectation and disillusion from the reality, practice and frustration, and inner reflection, and these represen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new hometown’ and ‘old hometown.’ Just after the Liberation, Oh Jang‐hwan defined Seoul as ‘new hometown’ through his poem ‘Sick Seoul,’ but seeing the reality that the city turned into “toilet,” he fell in skepticism and disillusion. At the beginning of 1946, consequently, he wandered between staying in the ‘new hometown’ and returning to the ‘old town’ where his mother was. In methodological search of new hometown, he remained in Seoul and was involved in the Literature and Art Popularization Movement with progressive literature groups, but faced with the barrier of political reality, he appeared to search for the old hometown again. In the old hometown where the mother’s “great love” was, he discovered new possibility and sought peasant poetics or created on the theme of the structural problems of farm villages. Going further, he came to attain “courage and hope once again” through the vitality of the old hometown. With energy from the courage and hope, in 1947, he waged another pro‐social campaign for constructing ‘new hometown’ in Seoul. At the same time, however, his poems showed the tendency of being incorporated into a collective sense of purpose and a sense of struggle, losing the trait of subjective searching for the reality. As the situation grew unfavorable due to the mass arrest, Oh, reflecting calmly on Kim So‐wol’s later years, considered returning to the old hometown again. That is, it appeared repeatedly that he tried to find a breakthrough in the old hometown whenever it became difficult to pursue new hometown. In this sense, hometown was an important poetic source that directed Oh Jang‐hwan’s poems not only during the lat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but also after the Lib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