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사씨남정기> 읽기를 통해 가능한 정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문학교육의 지향점이 학습자가 문학 작품을 알고,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에서 나아가 자발적이고도 주체적으로 향유하는 것에 있다면 정서 중심의 작품 읽기가 그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씨남정기>를 자료로 하여 고전소설 교육에서 다룰 내용으로서의 정서와 학습자가 어떻게 정서를 파악하고, 반응하도록 교육할 것인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정서 중심의 읽기는 학습자가 <사씨남정기>에서 정서를 읽어내고 경험하며 적절한 판단에 이르는 과정을 모두 포괄한다. 그래서 독자로서의 학습자가 <사씨남정기>의 서사에 정서적으로 반응하고, 평가 과정을 통해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정서 조절의 경험까지를 다루는 것이 정서 읽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된다. 이는 학습 독자들이 정서적 체험의 주체로 성장하는 과정을 상정한 것이기도 하다. 주체로서의 학습 독자 개념이 중요한 것은, 정서 체험의 문제는 다른 누구의 체험을 알거나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 스스로의 것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앞서 보았듯이, 고전소설 읽기에서 정서 체험은 소통 구조 속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그것은 <사씨남정기> 자체가 고유의 소통 구조를 갖고 있고, 당대 독자가 아닌 지금의 학습 독자는 <사씨남정기>와 소통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때 학습자는 정서 체험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이렇게 정서 중심의 읽기는 기존의 고전소설 교육이 작품에 대해 가르치거나 인물이나 구조를 분석하는 데 머물렀던 문제를 뛰어 넘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그것은 시대적, 문화적으로 거리가 있는 텍스트와의 총체적, 적극적, 본격적 소통이 될 수 있기 때문이며, 그래서 정서 읽기의 결과가 학습자 자신의 삶과 정서의 문제로까지 확장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ontents and method of educating the emotional reading through Sassinamjeonggi. Reading the novel focused on the emotion includes all process that a learner reads emotion, experiences emotion and reaches appropriate judgment in Sassinamjeonggi. So the contents and method of educating the emotional reading is that a learner as reader responses emotionally to narrative of Sassinamjeonggi, makes the desirable and positive emotion, and experiences controlling emotion. This process proposes the education as the growth of learning reader as the subject of the emotional experience. The concept of learning reader as the subject is important because the problem of the emotional experience is reader's own emotional experience not any other's. As examined before, the emotional experience must be treated in communicating structure in reading the classic novel. And a learner must be the subject in communicating with Sassinamjeonggi. So it is expected that reading focused on the emotion should solve the problem of the existing education of Korean classic novel. Because this educational perspective offers the communication with the text totally and actively which has the distance in times and culture. And finally the result of reading emotion could be expanded to the life and emotion of learner's 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