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어부사시사>의 해석을 ‘교육’의 맥락에 위치 짓기 위해 미숙련 독자의 해석과 숙련된 독자의 해석을 비교․분석하였다. 고전시가 해석의 교육적 맥락화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철학적 전제를 검토하고 방법적 전략을 구상하는 데 집중돼 있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성과를 보완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고전시가 해석 주체의 경험이 교육적 맥락에서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고전시가 해석 주체의 경험에 주목하면 고전시가 해석의 제층위를 이론화해야 한다. 시론적으로나마 고전시가 해석의 중층성을 세 가지 층위로 구조화하였다.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미숙련 독자의 해석은 대학생 독자들의 <어부사시사> 해석으로, 이들의 해석은 연상적 해석과 분석적 해석의 단계를 보였다. 연상적 해석 단계의 학생들은 부분적인 정보를 나열하거나 자신의 경험을 재해석하는 두 가지 유형을 보였다. 이보다 진일보한 해석은 분석적 해석의 단계이다. 미숙련 독자의 분석적 해석은 작품에 대한 구조적 해석으로서의 가치는 있지만 작품의 역사적 맥락과 특수성을 해명하는 데 있어 부족한 점이 있었다. 숙련된 독자의 해석으로는 두 명의 고전시가 연구자의 연구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자들의 해석은 <어부사시사> 해석 층위의 여러 국면을 다양화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통합적인 해석을 완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해석은 <어부사시사>의 역사적 맥락과 특수성을 해명하는 해석의 목표를 적절한 과정을 거쳐 완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었다. 이들의 해석이 논리적으로 3단계의 과정을 거쳐 해석을 완성하고 있다는 점 역시 참조할 만하다. 미숙련 독자와 숙련된 독자의 해석의 차이, 즉 해석의 상대성은 해석의 결과의 차이라기보다 해석 과정에서 어떤 활동들이 활성화되었는가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다. 또한 이들 해석은 구조적인 차이를 보이는 위계성을 지닌다. 이런 면에서 볼 때, 교육적 측면에서는 미숙련 독자의 해석이 해석의 목표 재인식, 해석 활동의 활성화, 전체적 의미의 구조화, 역사적 맥락화 등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paid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between professionals' and amateurs' interpretation of Eobu-sasisa for educational meaning. Former studies got important results in terms of philosophical presuppositions and methodological strategies of the interpretation in classical poetry education. To improve these outcomes of former studies, this study emphasizes experiences of classical poetry interpretation. I examine three stratums of interpretation. In this aspects, Amateurs' interpretation is associational and analytical. Students in associational interpretation level, generally interpret Eobu-sasisa enumerating partially or reinterpreting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Students in the higher level, interpret Eobu-sasisa analytically and structurally, but they fail in gaining historical context and intrinsic interpretation of Eobu-sasisa. Professionals' diversify many interpretation method. Through this process, they get integrated interpretation of Eobu-sasisa. They reach the historical and intrinsic interpretation in proper interpretation procedure. And they complete interpretation logically in three level. The relativity of interpretation results not from outcomes but from procedural experiences. And they are different in structural meaning. In this respect, students should aware the goal of interpretation, and perform many interpretarion activities. Through these activities, they should interpret a work structurally and historot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