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고전시가를 읽는 재미를 탐구하여 그 원천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문학 독서를 놀이의 본질에 근거하여 키트형 독서와 레고형 독서로 구별하여 그 재미의 원천을 탐색해 보았다. 키트형 독서는 작품이 기원적으로 지니고 있는 작가의 의도나 작품 자체가 내재적으로 지니고 있는 의미를 파악하는 해석의 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내용과 표현 등 작품의 구조를 이루는 여러 가지 요소에 관심을 기울일 수밖에 없다. 반면에 레고형 독서는 작품을 작가의 의도로부터 단절시켜 독자가 임의의 의미망 속으로 포섭하는 단계에 적용된다. 이 단계에서는 작품의 내재적 요소를 독자 자신의 상황에 입각하여 발산적으로 확장하고 새로운 관계망 속에 배치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주관적인 감상(鑑賞)이나 주체적인 평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의도적인 오독까지도 허용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두 방향에 따라 실제 시조 작품을 읽은 경험을 기록하였다. 문학 독서가 온전하게 놀이로 성립하기 위해서는 문학 교실을 떠나야 한다는 점에서, 문학의 교수-학습은 오히려 문학 독서를 놀이로부터 멀어지게 만드는 조건일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교실 밖에서 자발적으로 수행되는 문학 독서를 염두에 둘 때, 문학 교수-학습은 놀이의 규칙을 습득하도록 하는 것으로도 그 역할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clarify the source of pleasure of reading classical poetry. For this I prescribed reading literature as a play or game. And I divided the pleasure of reading literature into two kinds ; the kit type and lego type reading. The kit type reading method can be applied the step of interpretation. The readers comprehends the poet’s original intention or the inter-subjective or objective meaning of work in this step. They attends to different elements constructing the work like the material, diction, expression and theme. On the other hand, the lego type reading method can be applied the step of intertextual diffusion or subjective appreciation. It is free from the objective substantiality of work including the intention of the writer. I recorded my reading process in these two ways. These two types of reading cannot be exclusive but they have to be complementary and circulate as the flow of reading. If it is ideal that the learner read literature spontaneously as a life-long reader, the role of teaching-learning in the classroom is enough to make leaner acquire and have familiar with the rule of the g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