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세조~성종대 金時習(1435~1493)과 南孝溫(1454~1492)의 屈原·楚辭 수용을 추방된 비전과 그 대응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두 사람의 시문은 유교국가의 비전이 추방된 세계, 길고 고통스러운 소외의 시간에 지어졌다. 이들의 굴·초에 대한 문제의식이나 수용 태도는 국왕 및 훈구관료 문인들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김시습은 논리로 설파하고 문학으로 구현하면서 굴·초라는 문제를 본격적으로 문학사적 논쟁의 한가운데 놓았다. 그는 시대의 위기 속에 외변을 서성이면서도 자신의 怨望과 소원을 끊임없이 표출한 굴원에 자신을 일치시켰다. 시·공간을 뛰어넘는 즉각적인 동일시는 강력한 정서적 반응을 끌어냈다. 동경·슬픔·안타까움 같은 소극적이고 내향적 투사에 그치지 않았다. 시대적·사회적 의의를 갖는 행동의지를 표출하고 행동의 논리를 제시했다. 그는 굴원을 사회모순을 향해 끊임없이 문제제기를 한 忠臣義士, 유교적 비전을 감당하기 위해 자기의 직분을 다한 ‘諫臣’의 모형으로 수립했다. 남효온은 김시습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도 그보다 더 격렬하게 세계와 대립하고 한층 날카로운 적개심을 구체적인 대상을 향해 폭렬했다. 이것은 사회모순이 해소되기는커녕 갈수록 격화되고 있다는 상황인식에 기인한 것이다. 그는 굴원을 ‘達人’으로 표상하고 사후세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그러나 사후세계는 현실세계의 보상적 유비이다. 그곳은 老莊的 領土 위에 건립된 儒家的 理想社會이다. 이 점에서 남효온의 ‘달인 굴원’은 김시습의 ‘간신 굴원’과 상반된 두 얼굴이 아니라 한 짝을 이루는 앞뒤의 얼굴이라 할 수 있다. 김시습과 남효온은 불의한 현실에 문제제기를 하면서 추방된 유교국가의 비전을 복원하고자 분투했다. 굴·초가 그 문학적 통로로서 선택되었다. 특히 굴·초의 비판성과 반항성을 발전시키고 비극적 미감과 생동하는 심미 의상을 발휘함으로써 문학의 새 경지를 개척한 것은 의미 있는 성과이다. 이 성과는 세조~성종대의 시대적 성격(추방된 비전)이 추동하고 두 사람의 문제의식과 문학적 개성이 투합하여 창조해 낸 조선전기의 특별한 문학적 자산이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acceptance of Qu Yuan(屈原) and ChuCi(楚辭) by Kim Si-seup(金時習, 1435~1493) and Nam Hyo-on(南孝溫, 1454~1492) during the reign of Sejo(世祖) to Seongjong(成宗)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expelled vision and response. The poetry and prose of the two people were written in a world where the vision of the Confucian country was expelled at a time of long and painful time of alienation. Their critical mind and acceptance of Qu Yuan and ChuCi had clear differences from the King and the bureaucratic writers. Kim Si-seup put the issue of Qu Yuan and ChuCi at the center of the literary controversy in full scale by realizing it using literature and expressing it with logic. He hovered around the outskirt of the crisis of the time but matched with Qu Yuan who constantly expressed his resentment and hope. The immediate equation beyond the time and space elicited strong emotional responses. They not only included the passive and introvert projection such as yearning, sorrow and regret but also expressed the willingness of action with periodical and social significance and suggested the logic of action. He made Qu Yuan as a faithful subjec(忠臣義士) who constantly raised problems against the social contradiction and a model of gansin (諫臣) who did his duty to deal with the Confucian visions. Nam Hyo-on shared the critical mind of Kim Si-seup, more fiercely confronted the world and exploded sharper hostility to the specific objects. This came from recognition of situation that social inconsistency is more intensifying rather than reduced. He symbolized Qu Yuan as dalin(達人) and positively recognized the afterlife. However, the afterlife is a compensatory analogy of the real world. That is the Confucian ideal society(儒家的 理想社會) established Lao-tzu(老莊)'s territory. In this regard, ‘dalin Qu Yuan’ of Nam Hyo-on and ‘gansin Qu Yuan’ of Kim Si-seup are the faces on the front and back sides in pair rather than two conflicting faces. Kim Si-seup and Nam Hyo-on raised problems of the unjust reality and struggled to recover the expelled vision of the Confucian country. Qu Yuan and ChuCi served as a literary passage. In particular, the two pioneered the new stage of literature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bureaucratic writers by developing criticism and rebellion of Qu Yuan and ChuCi and realizing the tragic sense of beauty and vibrant aesthetic ideas. This is the special literary asset of the early Joseon Period that was created upon the critical mind and literary individuality of the two, driven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a during the reign of Sejo to Seongjong(the world where the vision is expel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