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세기 말 한국문학사에서 한문 창작물은 가치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전통적인 교육을 받고 민족적 위기를 담당한 애국자들의 한문 문학은 마땅히 문학사의 중심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그런데 19세기 말 이후 일제 강점기까지 뜻밖에 활발해진 한시 창작열은 어떻게 해명할 수 있는가. 한문 사용 능력이 신분의 표지와 동일시되는 사회에서 오래 살아왔기 때문에 조선 말기 신분이 해체되자 상승된 신분이든 원래의 신분이든 모든 士 계급은 한문 학습과 사용에 활발히 참여했다. 그들은 이전에 제한되었던 한문 학습과 한시 창작에도 참여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1897년을 전후하여 편집된 『巖齋唱酬錄』은 검토해볼 만하다. 이 책에는 巖齋 李運基 자신을 제외한 116명의 인사들이 주고받은 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개인의 문집에 가까운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암재 자신에 의해 지어진 글은 매우 적으며 타인이 차운해 준 唱酬詩文이 훨씬 많다는 특이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시를 지은 이들은 자신의 감회나 정서를 자발적으로 읊은 것이 아니라 암재에 의해 요청된 시를 지은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시들에서 개인적인 감회를 노래한 것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지어진 시들은 암재가 제시한 原韻의 의미망을 벗어나지 못했다. 주어진 운자가 비교적 광범위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해도, 지은이들은 암재에게 주는 축하시라는 효용성에 기반을 두고 시어의 의미를 사용하였다. 고사를 인용하거나 인용된 고사를 활용할 때에도 상투적인 시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고, 창의적 표현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창수시들은 이전 시기에 있었던 문학적 감동의 공유 전통을 이어서 다음 시기에까지 창화시들이 창작되게 한 문학사적 기능과 문학창작자의 범위를 넓혀서 문학의 형식과 내용을 다양화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런 작품집이 나오게 된 것에 대해 당시의 신분제도 붕괴와 이로 인한 신분상승 욕구를 참고하여 살펴보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 한문 창작이 신분 표지로 인정되던 시기라면, 새로 신분이 상승한 사람이든 원래 상층 신분의 사람이든 한문 창작에 열의를 보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was underestimated in late 19th century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Korean literature written by patriots should indeed be considered as the core of history of literature even if it w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Yet, how can unexpected creation fever of Sino-Korean poems from late 19th century to Japanese colonial era be explained?Since the ability to use Chinese character was equivalent to the social rank in Korean society, when the social rank collapsed at the late Chosun dynasty, every scholars of all social background began participating actively in us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They could also participate in creation of Sino Korean poems, which was banned before. Taking these into consideration, 『巖齋唱酬錄』(Amjae antiphone poems), edited at around 1897, is worth examining. In this book of poem are poems exchanged by 116 figures except Amjae Lee Un-ki himself. This book seems to have property close to private collection, but actually works written by Amjae himself are very few and there are much more works given by others called 唱酬詩文(antiphone poems). The authors included here are mostly regional figures who don’t even appear in biographical dictionary. However, these figures agreed to write and give their piece of work enthusiastically, and as a result, this book was published. The poems included in this book do not voluntarily sing personal emotions, but these poems are created in accordance to a particular request and theme. It seems it is possible to relate the publication of such collection book with collapse of social rank and desire of social status rise. If contemporary period was when creation of Sino Korean literature represented social status, it must have been inevitable to be enthusiastic to creation of Sino Korean literature, regardless of social backg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