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산업기술간 융복합이 이루어지고 복잡화 되면서 기업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게 됨에 따라 컨설팅의 필요성이 증가되었다. 이에 따라 컨설팅 산업이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으며 관련 연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2000년대부터 경영컨설팅 관련 연구가 시작되어 양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그 간의 경영컨설팅관련 연구를 돌이켜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 동안 국내 관련 학술지에 실린총 93편의 연구를 분석하여, 경영컨설팅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연구의 분석대상을 어떻게 선정하였는지 밝힌후 년도 별 연구추이를 살펴보았으며, 경영컨설팅 서비스 전문영역, 연구방법 및대상, 질적 및 실증연구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국내 경영컨설팅관련 연구의 동향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컨설팅대학원 사업이 시작된 이후 컨설팅관련 연구가 눈에 띄게 늘어났다. 둘째, 컨설팅관련 연구는 컨설팅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의 대상이 대부분 중소기업이다. 넷째, 연구를위한 자료는 단일차원에서 수집되고 있었다. 다섯째, 실증연구와 질적 연구가 유사한 비율을 이루고 있지만 실증연구가 더 많이 진행되고 있다. 여섯째, 질적 연구의 경우 연구의 다양성과 활용성이 높지만 실증 연구의 경우 연구 대상이나 변수가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 동안의 경영컨설팅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국내 컨설팅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Studies on management consulting have increased since 2000, as consulting industry flourished. However, in Korea previous studies on management consulting have rarely been review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revious studies and to provide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management consulting. We analyzed 93 studies on management consulting that have been published in major journals in Korea. The study consist of two sections. We analyze the research trend on consulting area, research method in the first section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management consulting research in Korea. The findings on management consulting trends and limitations are as follows. First, consulting researches have increased since 2009 when Korean government started to support the graduate school of consulting. Second, most of the researches focused on the result of the management consulting. Third, most of the samples wer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Forth, all the data for the studies were from single source. Fifth, the number of empirical studies were more than qualitative studies. Sixth, samples and variables used in the studies were limit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we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