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현행 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8종의 『한국사』 교과서를 대상으로 원시․고대 부분에서 여성 관련 내용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교과서는 국가가 제시하는 교육과정을 전제로 집필된다는 점에서, 먼저 교육목표와 내용 영역 등에서 제시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런데 교육목표와 내용 영역과 기준, 교과서 집필 기준 등에서 여성과 관련된 언급이나 관점을 찾기는 어려웠다. 다음으로는 8종의 『한국사』 교과서에 실린 내용을 직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런데 원시부분에서는 성별 분업이나 성별 불평등 등에 대한 언급을 찾을 수 있었으나, 고조선 이후 고대부분에서는 특별히 ‘여성’이라는 성별을 의식한 내용이나 관점을 찾기는 어려웠다. 여성은 주로 사회 풍속에 관한 언급에서 관련성을 찾을 수 있는 정도였는데 그나마 평면적인 소개에 그친 경우가 많았다. 이를 통해 현행 고등학교 원시, 고대부분에서 <한국사> 교육은 여성 관련 내용이 소략하며, 나아가 젠더적인 시각이 결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원시 고대에서는 여성이 신적인 존재로 숭배되거나 여사제, 여왕 등 공적 활동에 참여하는 여성이 나타나는 등 다른 시대와 차별적인 모습이 보인다. 그러므로 ‘여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경우 원시 고대 사회에 대한 역사상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목표로 제시하고 있는 ‘다원적 가치’라는 측면에서도 원시 고대 부분에서 여성사에 대한 이해나 내용 보충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eight textbooks of Korean History currently used in high schools as to how they describe the contents related to women in the primitive and ancient periods. It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objective of education and in the domain of contents as they were written on the premise of the curriculum presented by Korean government. But it had difficulty finding out the mention and perspective related to women in the objective of education, the domain and criterion of contents, and the criterion for writing the textbook and the like. And then it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nts carried in eight textbooks of Korean History. But they made a mention about gender-based division of labor and gender inequality in the primitive period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the contents and perspectives aware of the gender of 'woman' in the ancient period since the period of Gojoseon or ancient Joseon. Relatedness with woman could be found largely in the mention about the social custom, which introduced it in an one-dimensional way. This indicates that the current high-school education of primitive and ancient parts in Korean History deals with woman-related contents in brief and furthermore is lacking in the gender perspective. But in the primitive and ancient periods, women showed the figu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other periods in that they were worshipped as goddess or engaged in public activities in the capacity of woman priest, queen and so on. Therefore, there is some limitation in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primitive and ancient society due to the lack of an understanding of ‘woma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complement the understanding and contents of the history of woman in the primitive and ancient parts in terms of the pluralistic value presented as the current educational objective of korean history in high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