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北宋 末 南宋 初 繪畵史에서 주목해야 할 인물인 董逌에 대해서 『廣川畵跋』을 중심으로 그의 주요 繪畵觀을 고찰해 보았다. 北宋 末 南宋 初의 전반적인 사상적 기조는 儒ㆍ佛ㆍ道 三敎 交涉에 의해 다양한 思惟體系로 변화하고 있었다. 특히 『廣川畵跋』은 北宋 末의 畵院과 畵學에 관한 사료의 부족함을 뒷받침 해주고, 또 그 화평 내용에 담긴 내용이 兩宋 회화관을 연결시켜주는 데 媒介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畵論書로서의 역사적 가치가 크다. 『廣川畵跋』은 刘道醇의 『聖朝名畵評』, 李廌의 『德隅齋畵品』, 米芾의 『畵史』 등과 함께 畵品類에 속하는 畵論書이다. 그러나 같은 畵品類에 속하지만 『聖朝名畵評』은 技法과 風格을 品等으로 나누어서 畵評한 것이었다면, 『德隅齋畵品』, 『畵史』, 『廣川畵跋』은 品等으로 그림을 나누지 않고 鑑賞과 考證의 방식으로 畵評하였다. 이 중 『廣川畵跋』은 이러한 考證과 鑑賞의 화평 방식으로 畵品類에 속하는 畵論書지만 그 내용 면이나, 구조체계의 측면에서 동시기의 畵論書 보다 더욱 獨步的이었다. 이는 董逌와 蘇軾, 黃庭堅의 화평 특징을 비교해 보아도 題跋의 風趣는 다르고, 故事畵 형식으로서의 題跋 중 가장 완전한 형식을 갖추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米芾의 『畵史』도 그림을 평하고 잘못 된 점을 考訂하는 방식의 畵論書이지만, 評論 위주의 畵評 方式을 취하고 있으며, 黃伯思도 鑑賞과 考證에 능했지만 그림을 品評하는 문장이 많지 않고 책으로 완성되어 전해진 것이 없다는 점에서 董逌의 『廣川畵跋』은 畵論分類史的 意義를 지닌다. 이러한 『廣川畵跋』은 『宣和畵譜』와 함께 北宋 末 繪畵藝術精神을 탐구할 수 있는 주요 문헌이라는 점에서도 미학적․미술사적 의의가 크다. 董逌의 『廣川畵跋』에 담긴 심미적 특징인 ‘理’는 創作者와 鑑賞者가 사물대상에 담긴 固有한 規律性을 파악하여 그 외형적 형상, 즉 形似를 장악해야 그 대상 본연의 형상, 神似를 표현할 수 있고, 또 감상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이 같은 ‘理’는 董逌가 활동한 시기의 사상적․사회적 배경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이 시기의 ‘道’ㆍ‘天’ㆍ‘性’의 개념은 사물들을 통합하는 하나의 단일한 ‘理’가 이해되는 다른 측면들로 간주하여 체계화 시켜나갔다. 특히 程頤는 동일한 ‘理’가 자아와 외부 세계를 관통하고 있음에도 우리 내부는 ‘理’가 우리 자신을 구성하고 있는 ‘氣’에 의해 가려져 있으므로 내적 반성보다는 ‘格物’, 즉 외물·사람·사태들에 대한 탐구를 통해서 그것들이 따르고 있는 혹은 따라야 할 원리들을 발견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당시의 사상적·사회적 이념은 문화예술영역에서도 영향을 끼쳐 徽宗과 董逌의 審美觀에서도 다양한 모습 형태로 나타났다. 董逌는 자연사물의 物理․物性으로 인해 나타난 ‘造化’의 내재적 律動, 生命感, 變化感을 ‘以物觀物’의 태도로 認知할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관찰 태도는 사물에 대한 지속적인 觀察과 生活 經驗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실현될 수 없었다. 이는 사물 관찰의 법칙에 대한 特殊性과 普遍性의 문제를 제기한다. 그 내용은 화가가 오로지 현실 생활에 몰두하여 자연사물의 형태를 자연스럽게 관찰할 수 있을 때, 그 特殊性을 부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普遍性은 사물 형상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관찰할 수 있는 점이고, 特殊性은 ‘動靜’의 모순 변화 중에서 사물의 형상의 오묘한 진리를 체득하여 그 특징에 따라 다양한 아름다움을 표현해내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이는 곧 우주 본체의 오묘한 진리가 현실 세계에서 일정한 規律性을 가지고 창작자의 마음 체현으로 드러난 고도의 예술정신으로 승화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창작자가 항상 자연과 벗하여 ‘格物’의 審美的 관찰 태도로 ‘物我兩忘’의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董逌의 회화관은 바로 形神 兼備의 중요성을 체득하여 그 특징에 따라 自然事物 本然의 特性을 중시하였고, 나아가 이를 창작해 내는 표현 主體와 客體의 合一이 이루어질 때 自然이 담고 있는 敍事的 意義를 더욱 명확히 표출할 수 있다고 보았다.


There are many painting theorists from Wu dynasty to Song dynasty. Out of them, Dongyou is a remarkable person in the painting history from the end of BeiSong to the early NanSong. Guangchuan Huaba of Dongyou is a painting theory book that lets you know the flow of painting from the painting style of painters in the end of BeiSong to the early NanSong and the article in the 2nd year of Zhezong Shaoxing (AD 1095) is the beginning and the article in the 6th year of Huizong Xuanhe (AD 1124) is the last. The contents above let you know that fact that Dongyou is a person in the same period as that of Su Shi (AD 1037-1101) and Huang Tingjian (AD 1045-1105) and he was active until the early NanSong which is the next generation of them. And Guangchuan Huaba is classfied as painting theory book that belongs to artistic merits of pictures and in total 6 volumes, 134 articles of poems are recorded in the preface and epilogue, and with the method of description mainly historical research and appreciation of the works are described on the whole so it has meaning and characteristics in painting theory classification histo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is that it discusses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painting and the technique of painting in aesthetic viewpoint in the form of talk. In the end of BeiSong and the early NanSong the ideological and religious flow of negotiation of three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influenced the reasoning system of imperial family and nobility of literary persons so the revolution of painting style occurred. Guangchuan Huaba written with the background of the time like this has value as a painting theory book in the same age which supports the viewpoint of painting of Xuanhe Huapu. And it can be used as the ground of historical records of many paintings lost in the war of Jing-Kang in the end of BeiSong. Further, it can make you consider the change of painting style coming into the early NanSong from the end of BeiSong in various viewpoints. In conclusion, the view of painting of Dongyou acquired the importance of the rightly preparing the body and mind and according to the feature, placed high value on the characteristics of true character of the natural things, and further it had an opinion that when the unity of subject and object of expression which create this is achieved, descriptive meaning which the nature contains can be more clearly exp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