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을 초등학생 및 청소년을 자녀로 둔 부부들에게 실시하여 부모역할훈련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가족유연성 및 가족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40~50대 부부 32쌍 64명을 실험집단에 16쌍(32명) 통제집단에 16쌍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통제집단에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은 부부 8쌍 두 그룹으로 나뉘어서 2010년 11월부터 주 1회 3시간씩 총 8회 24시간 진행되었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가족유연성(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 Ⅲ), 가족환경척도(Family Environment Scale) 이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통하여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간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의 하위요인인 개방형 의사소통과 문제형 의사소통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은 가족유연성향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은 가족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관계 하위요인 중 갈등, 결속력, 표현력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이 가족관계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between parent-child, family flexibility,and family relation on married couples who have school age children. For this study, the consented 64(32 couple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either to an experimental group that provided the parenting training program, or to a control group that did not offer the program. The pre-post test scores of each group were compared using the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 III, and Family Environment Scale.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ree hours on weekly basis from November, 201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training program gave positive influenced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married couples and parent-child.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subscale of open-ended communication and dispute-style communication. Second, parenting training program did not give a worthy positive influence to the family flexibility.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family rel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s findings on social work practice were also discussed, along with some future research directions.